빈집 발생 촉발요인과 근린환경 특성에 따른 대응방안 연구: 인천광역시 구도심을 사례로

이다예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빈집 발생 촉발요인과 근린환경 특성에 따른 대응방안 연구: 인천광역시 구도심을 사례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declining area
  • neighborhood environment
  • old city center of Incheon.
  • triggering factors
  • vacant houses
  • 근린 환경
  • 빈집
  • 쇠퇴지역
  • 인천 구도심.
  • 촉발요인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31 0

0.0%

' 빈집 발생 촉발요인과 근린환경 특성에 따른 대응방안 연구: 인천광역시 구도심을 사례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확률선택모형을 활용한 농촌 빈집의 공간적 패턴 예측
    김현중 [2016]
  • 한국 도시쇠퇴의 원인과 특성
    김광중 [2010]
  • 일본의 빈집형성의 원인과 대처 방안 - 일본 국토교통성의 장기우량주택등유지환경정비사업을 중심으로-
    남지현 [2014]
  • 일본의 빈집문제 대응체계에 관한 고찰
    이동훈 [2017]
  • 일본·미국·영국의 빈집 관련 제도에 관한 연구
    이다예 [2017]
  • 인천광역시 폐·공가 현황 및 정책 방향
    이종현 [2014]
  • 인구감소·기후변화 시대의 공지의 재발견
    이희연 [2017]
  • 우리나라 빈집(公家)실태와 근린재생과의 연계방안
    임준홍 [2016]
  • 빈집 정책 방향
    강미나 [2017]
  • 빈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특성 분석
    노민지 [2016]
  • 도시쇠퇴지역의 빈집 분포현황과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
    김진하 [2016]
  • 대학 졸업자의 지역 간 취업 이동 요인 분석: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취업 이동을 중심으로
    심재헌 [2012]
  • 근린 재생을 위한 도시 내 유휴공간 활용 정책방안 연구
    임유경 [2012]
  • 구시가지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- 인천 남구 숭의동 지역을 중심으로
    전영미 [2016]
  • 개별건축물 데이터를 활용한 대구광역시 빈집 발생의 공간적 분포 및 발생요인 분석
    박정일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