초・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예측 요인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

논문상세정보
' 초・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예측 요인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Digital literacy
  • ICT literacy
  • Multilevel analysis
  • computational thinking
  • ict 리터러시
  • 다층모형분석
  • 디지털 리터러시
  • 컴퓨팅 사고력(CT)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946 0

0.0%

' 초・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예측 요인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' 의 참고문헌

  • 초・중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 심층분석 : 2007-2016
    김종민 [2017]
  • 초·중학생의 컴퓨터 활용 및 정보(컴퓨터) 교육 경험이 ICT 리터러시 수준에 미치는 영향
    남창우 [2016]
  • 초·중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요인 분석
    김종민 [2017]
  •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고찰
    최숙영 [2018]
  •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
    김수환 [2017]
  • 다층모형을 활용한 초·중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 영향요인의 공통점과 차이점 분석
    김종민 [2018]
  • 국제 컴퓨터·정보 소양 연구:ICILS 2018 평가 체제 구축
    상경아 [2016]
  • 국제 컴퓨터·정보 소양 연구 : ICILS 2013 결과 보고서
    김수진 [2014]
  • Structural equation modeling: Concepts, issues, and applications
    West, S. G. [1995]
  • PISA 2012 수학 성취도를 설명하는 학생의 정의적 특성 및 교사 특성 분석을 위한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의 적용
    이현숙 [2015]
  •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: PISA 2018 예비검사 시행 기반 구축
    구자옥 [2016]
  • OECD PISA 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ICT 접근 및 활용 수준 추이 분석
    김혜숙 [2017]
  • ICT 활용수업에서 정보문해 및 매체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미치는
    김영수 [2001]
  • Digital literacy
    Gilster, P. [1997]
  • Digital Literacy and Media Literacy for Today’s Learners
  • Digital Competence in Practice: An Analysis of Frameworks
  •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Compulsory Education –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
    Bocconi, S. [2016]
  • BC’s Digital Literacy Framework
  • A review of digital literacy in 3 – 16 year olds: evidence, developmental models, and recommendations PART C: CATALOGUE OF EVIDENCE
  • 2018년 국가수준 초·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 연구
    이현숙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