말기법학의 연명장치 마련을 위한 제언

이경열 2019년
' 말기법학의 연명장치 마련을 위한 제언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risis in Legal Education
  • Reform of Lawyer Examination
  • Regeneration of Academic Law
  • Training of Follow-up Generation and Legal Profesion
  • law-school
  • 법학교육의 위기
  • 법학전문대학원
  • 변호사시험의 개선
  • 학문법학의 회생
  • 학문후속세대와 법조인의 양성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44 0

0.0%

' 말기법학의 연명장치 마련을 위한 제언' 의 참고문헌

  • 형사실무와 형법학
    김종원 [2018]
  • 한국 형법학의 방법적 착안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: 개념법학적인 사유형태와 일반조항에로의 도피
    김영환 [2018]
  • 한국 법학 연구 및 교육의 발전과 로스쿨 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바라며
    이형규 [2018]
  • 학문후속세대 양성 및 법학교육의 미래에 관한 몇 가지 단상, 학문후속세대 양성 및 법학교육의 미래
    김성룡 [2019]
  • 판사이야기
  • 시간강사의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의 법학학문후속세대 양성의 현황과 과제
    신정규 [2017]
  • 서울대 교수들이 말하는 ‘로스쿨 개선방향’ ④-학문후속세대 양성 프로그램 개발해야
  • 서울대 교수들이 말하는 ‘로스쿨 개선방향’ ③-정량평가 확대로 다양성 감소?
  • 서울대 교수들이 말하는 ‘로스쿨 개선방향’ ②-로스 쿨에서의 실무교육 어디까지?
  • 서울대 교수들이 말하는 ‘로스쿨 개선방향’ ①-변호사시험 합격률 70% 돼야
  • 변호사의 덕목 목록 제1호에 관하여-레인메이커
  • 법학전문대학원의 회고와 전망
    최종고 [2018]
  • 법학연구와 법학전문대학원
    김유환 [2018]
  • 법학분야 학문후속세대 및 법학전문연구인력 양성 전략 – 로스쿨 시대일반대학원 법학과의 개편방향 -
    김제완 [2008]
  • 법학부 리더십연구회, 리더탐구. 법조인: 법률전문가 그 이상의 존재
    이진기 [2007]
  • 법학개론
    홍성찬 [2003]
  • 법 이론과 실무에 던지는 물음, ‘법학의 학문성’ -법학의 학문성에 관한 논의가 우리에게 던지는 과제
    김성룡 [2015]
  • 미국 형법교수가 본 독일 형법과 미국 형법의 특징
    손미숙 [2012]
  • 만약 카프카가 대한민국에 환생한다면?
  • 로스쿨과 학문후속세대
  • 로스쿨 체제하 법학 학문 후속세대 양성의 문제점과 그 대안
    성중탁 [2017]
  • 독일에서의 법학 학문후속세대와 법학교수 양성 체계
    허황 [2017]
  • 독일 법조인 양성제도의 최근 현황과 대한민국의 대안
    홍선기 [2015]
  • 검사의 기소유예처분에 대한 헌법소원 인용결정의 비판적 검토
    이경열 [2013]
  • “판례분석 끝냈습니다” AI 변호사, 사람보다 낫네
  • “Einführung in die Grundprinzipien des Rechts”, Universität Bern, Vorbereitungstext zur Dritten Vorlesung : Julius Hermann von K irchmann, Die Werthlosigkeit der Jurisprudenz als Wissenschaft (1848), zitiert nach dem Faksimile-Neudruck hrsg. von Hermann Klenner
  • Wissenschaftstheorie, Bd. 1
  • Gesamtausgabe. Band I : Rechtsphilosophie I
  • Einführung in die Rechtswissenschaft
  • Die Wertlosigkeit der Jurisprudenz als Wissenschaft
  • Auszug aus dem Inhalt von Leibniz, Gottfried Wilhel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