후위(後衛)의 공포와 전위(前衛)의 환상 : 1990년대 장정일의 소설과 포르노그래피의 형식

정주아 2019년
' 후위(後衛)의 공포와 전위(前衛)의 환상 : 1990년대 장정일의 소설과 포르노그래피의 형식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Jang Jeong Il
  • autodidact
  • avant-garde
  • kitsch
  • labor
  • obscenity
  • pornography
  • rearguard
  • 노동
  • 독학자
  • 외설성
  • 장정일
  • 전위
  • 키치
  • 포르노그래피
  • 후위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672 0

0.0%

' 후위(後衛)의 공포와 전위(前衛)의 환상 : 1990년대 장정일의 소설과 포르노그래피의 형식' 의 참고문헌

  • 햄버거에 대한 명상
    장정일 [1987]
  • 한국 변혁운동의 페레스트로이카 담론 1988~1992
    유진숙 [2017]
  • 포스트모더니즘, 세기말적 상상력, 장정일
    장석주 [1990]
  • 페레스트로이카의 철학적 이해
    이진우 [1991]
  • 코뮤니스트 후기
  • 천국에 못가는 이유
    장정일 [1991]
  • 진정성의 알리바이(Alibi)­장정일 소설에 나타난 예술의 의미를 중심으로­
    장세진 [2002]
  • 지하인간
    장정일 [1991]
  • 장정일을 만나기 위하여
    김종욱 [1997]
  • 장정일, 화두 혹은 코드
    강금실 [2001]
  • 장정일 초기 소설의 문제성 - ‘90년대’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
    한영인 [2015]
  •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
  • 오만한 사제의 위장된 백일몽: 장정일론
    구모룡 [1997]
  • 에크리
  • 아담이 눈뜰 때
    장정일 [1992]
  • 시인과 법: 『내게 거짓말을 해봐』를 읽고
    정장진 [1997]
  • 소설의 운명
    서영채 [1995]
  • 서울에서 보낸 3주일
    장정일 [1988]
  • 상복을 입은 시집
    장정일 [1987]
  • 뻬레스뜨로이까의 좌절과 사회주의의 장래
  • 비루한 것의 카니발: 90년대 소설의 한 단면
    황종연 [1999]
  • 부정의 윤리와 진정성 너머의 문학 – 종교로서의 자본주의를 향한 장정일의 시적 대응
    김예리 [2018]
  • 모던 타임스
  • 너희가 재즈를 믿느냐
    장정일 [1994]
  • 너에게 나를 보낸다
    장정일 [2005]
  • 내게 거짓말을 해봐
    장정일 [1996]
  • 나의 나
    장정일 [1996]
  • 길안에서의 택시잡기
    장정일 [1988]
  • 그를 믿어야 할 것인가: 장정일 소설론
    방민호 [1995]
  • 그것은 아무도 모른다
    장정일 [1989]
  • ‘문학주의’ 시대의 ‘포스트모더니즘’ —1990년대 비평이 ‘포스트모더니즘’과 접속하는 방식
    조연정 [2018]
  • ‘90년대’는 없다하나의 시론試論, ‘1990년대’를 읽는 코드
    김영찬 [2015]
  • 90년대 문학 어떻게 볼 것인가
    황종연 [199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