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단 트라우마의 치유와 화해, 공동의 미래로서의 한반도 통일

김지은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분단 트라우마의 치유와 화해, 공동의 미래로서의 한반도 통일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Division Trauma
  • Korea
  • Liquidation from the past
  • Reconciliation
  • Settlement from the past
  • Social Trauma
  • Unification
  • healing
  • 과거사청산
  • 분단 트라우마
  • 사회적 트라우마
  • 치유
  • 통일
  • 한반도
  • 화해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,860 0

0.0%

' 분단 트라우마의 치유와 화해, 공동의 미래로서의 한반도 통일' 의 참고문헌

  • 폭력에 대한 정신분석적 성찰: 개인과 사회 속의 트라우마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
    홍준기 [2015]
  • 트라우마: 가정폭력부터 정치적 테러까지
    J. Herman [2007]
  • 통일은 치유다 : 분단과 통일에 대한 정신의학적 고찰
    전우택 [2015]
  • 통일시대 형사정책과 형사사법통합 연구(II): 통일시대의 과거·불법청산 및 사회통합 방안의 연구
    김한균 [2016]
  • 통일부 제1차 북한인권증진기본계획 수립
  • 통일 이후 ‘과도기 이중체제’에 대한 소고(小考)
    모춘흥 [2018]
  • 체제불법의 형법적 과거청산의 당위성에 대한 연구
    김동률 [2015]
  • 진실과 화해위, 한 시대 마감하고 미래로 가는 길
  • 주한 남아프리카공화국 대사관 홈페이지
  • 제4장 북한의 강제수용소와 독일이 주는 교훈
    장공자 [2011]
  •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
    전우택 [2017]
  • 용서와 치료
    손운산 [2008]
  • 용서에 대하여
    강남순 [2017]
  • 어떻게 부담스런 과거와 대면할 것인가? “과거극복”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
    전진성 [2003]
  • 스토리텔링을 통한 통일 한국의 사회치유 방향성 모색: 북아일랜드, 캄보디아, 독일,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
    김지은 [2017]
  • 세계의 과거사 청산
    안병직 [2005]
  • 리하르트 슈뢰더 전 동독사민당 원내총무(현 한독통일 자문위원회 위원) 인터뷰
  • 독일통일 총서 7: 과거청산 관련분야
    최승완 [2014]
  • 독일의 '과거'와 한국의 현실 사이의 진지한 대화
    이진모 [2005]
  • 독일 통일 이후 과도기 정의 실현의 정치적 제약사항 검토: 한반도 통일 이후에 대한 시사점
    이성우 [2016]
  • 다층적 이행기 정의의 포괄적 청산과 화해 실험 - 진실화해위원회의 진실·화해 모델을 중심으로
    이영재 [2015]
  • 다음 세대를 위한 한일 관계의 새로운 패러다임: 화해, 그리고 회복적 정의
    천자현 [2015]
  •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종 갈등과 화해 그리고 공존을 향한 “평화 개념” 맥락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 : 우분투(Ubuntu)와 진실과화해위원회(TRC)를 중심으로
    김광수 [2018]
  • 남아공의 진실과화해위원회(TRC)와 개혁적 사회통합 -민주주의 이행과정으로서의 과거사정리정책-
    김영수 [2009]
  • 남아공 과거청산모델
    안종철 [2002]
  • 국가폭력과 세계의 진실위원회
    P. Hayner [2008]
  • 과도기 정의(Transitional Justice)와 한반도 통일
    조정현 [2014]
  • 과거청산을 통한 통합
  • 과거사 청산과 역사의 치유
    엄찬호 [2012]
  • 『흔들리는 분단체제』
    백낙청 [1998]
  • 『국가범죄』
    이재승 [2010]
  • 「분단트라우마의 유형과 치유방향」
    이병수 [2011]
  • “통일 독일의 과거사 청산 일고”
    장원석 [2014]
  • Truth, Justice, and Reconciliation: Judging the Fairness of Amnesty in South Africa
  • Transitional Justice in Unified Korea
  • The Perils of Apology: What Japan Shouldn’t Learn From Germany
  • Something to Consider: For Transitional Justice in Unified Korea
    백범석 [2015]
  • Restorative Justice: The Concept
  • Psychosocial effects of participation in rituals of transitional justice
  • Overcoming Apartheid: Can Truth Reconcile a Divided Nation?
  • Institutions for Restorative Justice: The South African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
  • Does Truth Lead to Reconciliation? Testing the Causal Assumptions of the South African Truth and Reconciliation Process
  • Debating South Africa's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
  • An Analysis of Social Integration of Korea after Unification: A Case Study of South Africa
    서상현 [2016]
  • A Reunified Theory: Should We Welcome the Collapse of North Korea
  • 1991년~1992년 민주남아프리카공화국회의(CODESA)의 기록물 및 1993년 다당협상 기록물
  • '제2판' 급변사태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
    이수훈 [201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