김유정 도시소설의 교육적 가능성 고찰

홍인영 2019년
' 김유정 도시소설의 교육적 가능성 고찰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시점 교육
  • Education of character
  • Education of point of view
  • Education of social-cultural context.
  • Kim Yujeong
  • Literary works as educational material
  • Literature education
  • Urban short stories
  • 김유정
  • 도시소설
  • 문학교육
  • 사회·문화적 맥락 교육
  • 인물 교육
  • 제재로서의 작품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686 0

0.0%

' 김유정 도시소설의 교육적 가능성 고찰' 의 참고문헌

  • 현대소설 시점의 시학
  • 한국어교육에서 ‘해학’의 정서 표현 교육 방안 - 김유정의 <동백꽃>을 중심으로
    조수진 [2017]
  • 한국근대문학을 찾아서
    최원식 [1999]
  • 중학교 국어
    노미숙 [2018]
  • 중학교 국어
    류수열 [2018]
  • 중학교 국어
    박영목 [2018]
  • 이야기와 담론: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
  • 유랑과 정착의 관계 형성과 현실인식의 문제: 김유정론
    손광식 [1995]
  • 원본 김유정 전집
    전신재 [2012]
  • 식민지 도시 경성과 김유정의 언어감각
    권은 [2018]
  • 소설교육에서 <사랑손님과 어머니>의 정전화 양상과 개선 방향
    정진석 [2015]
  • 세계시민 양성을 위한 문학교육 방법 연구
    권경미 [2014]
  • 서사문학의 본질
  • 병상(病床)의 문학, 김유정 소설에 형상화된 육체적 존재로서의 인간
    김미영 [2014]
  • 반전과 통찰-김유정 도시 배경 소설의 비의
    박상준 [2014]
  • 반(反)자본주의를 위한 사랑의 형상화 : 김유정론
    홍래성 [2016]
  • 문화콘텐츠 ‘김유정’, 다시 이야기하기 -캐릭터성과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-
    이상진 [2011]
  •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- 김유정의 <봄봄>을 중심으로-
    정이붕 [2017]
  • 문학 속에 드러난 민족문화의 자취와 외국인에 대한 문학 교육 - 김유정 소설의 해학적 웃음을 중심으로 -
    변신원 [2001]
  • 맹목과 위장,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자기(self)의 텍스트화 양상-<두꺼비>와 <생의 반려>를 중심으로-
    노지승 [2013]
  • 독서 교육의 한 방향-측은지심의 함양-김유정 소설을 중심으로-
    임경순 [2018]
  • 김유정의 자전(自傳)소설"두꺼비"와"生의 伴侶"연구-한문소설 절화기담(折花奇談), 과의 비교를 중심으로-
    이민희 [2015]
  • 김유정의 인식지평과 존재의 언어
    박현선 [2012]
  • 김유정의 소설 쓰기와 자기 인식-<슬픈이야기>, <따라지> 분석
    조경덕 [2012]
  • 김유정의 문학작품과 독서토론 교육의 의의
    최선영 [2016]
  • 김유정의 귀환
    김화경 [2012]
  • 김유정의 고백소설 연구
    김종호 [2010]
  • 김유정의 「봄·봄」에 나타난 웃음문화와 외국인을 위한 문학교육
    오은엽 [2013]
  • 김유정의 ‘위대한 사랑’과 글쓰기를 통한 삶의 향유
    이덕화 [2014]
  • 김유정을 찾아가는 길
    유인순 [2003]
  • 김유정과 우울증
    유인순 [2007]
  • 김유정 자기서사의 말하기 방식과 슬픔의 윤리
    임정연 [2014]
  • 김유정 소설의 이면 읽기와 소설교육 - 해학성을 중심으로
    송재익 [2018]
  • 김유정 소설의 문화산업적 활용 방안 고찰
    김종회 [2016]
  • 김유정 소설의 도시 체험과 환등상적 양상
    권채린 [2011]
  • 김유정 소설의 근대적 특성
    김영택 [2008]
  • 김유정 소설과 서울
    정현숙 [2013]
  • 김유정 소설과 비서술적 음악의 꼴라쥬, <김유정 봄․봄> —오태석 극작법 연구
    양세라 [2013]
  • 김유정 소설 교육과 새 교과서 ― 동백꽃 을 중심으로
    김명석 [2015]
  • 김유정 문학의 전통성과 근대성
    김상태 [1997]
  • 김유정 문학의 유토피아 공동체와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
    서동수 [2015]
  • 김유정 문학의 웃음과 사랑
    김예리 [2016]
  • 김유정 문학의 교과서 정전화(正典化) 연구 ― 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
    김지혜 [2012]
  • 김유정 농촌소설에 나타난 ‘향토’ 표상
    이현주 [2015]
  • 김유정 ‘도시소설’의 근대성
    이익성 [2008]
  • 국어과 교육과정
  • 고등학교 국어
    이삼형 [2018]
  • 고등학교 국어
    류슈열 [2018]
  • 고등학교 교과서의 서사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 ―정 문학 교과서의 ‘인물’을 중심으로
    이승준 [2006]
  • 「소설교육에서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수용에 대한 인지서사적 고찰 - 「동백꽃」의 예전화 양상을 중심으로」
    정진석 [2016]
  • 「국어과 교과서의 문학 제재와 관련된 쟁점과 제안」
    김동환 [2013]
  • 「구어체 소설의 문학교육적 가치」
    박기범 [2016]
  • ‘전이(轉移)’를 통한 소설 인물의 변모 양상
    김종호 [2007]
  • ‘거리’를 활용한 소설감상교육 -김유정 소설 감상을 중심으로­-
    정재림 [2014]
  • Routledge Encyclopedia of Narrative Theory
  • 1950년대 김유정론 연구
    김세령 [2012]
  • 1930년대 소설의 공간설정과 작가의식의 상관성 연구 : 김유정과 이무영을 중심으로
    김종건 [1997]
  • 1930년대 농촌소설의 농민의식 반영 양상
    김종호 [200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