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학교 및 교실 수준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유형 탐색

조현희 2019년
'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학교 및 교실 수준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유형 탐색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ompetency Based Curriculum
  • Curriculum Design
  • Curriculum Development
  • standards
  • understanding by design
  • 교육과정 개발
  • 교육과정 설계
  • 성취기준
  • 역량기반 교육과정
  • 이해중심 교육과정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063 0

0.0%

'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학교 및 교실 수준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유형 탐색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의 핵심역량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가능성 탐색
    정영근 [2018]
  • 한국 국가수준 교육과정 설계와 개발의 문제와 개선 방안: 학습경험의 질 제고
    강현석 [2018]
  • 학문중심 교육과정 및 이해중심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이해
    한혜정 [2017]
  •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‘역량(competency)’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
    소경희 [2007]
  • 핀란드 2014 개정 국가 교육과정의 특징 분석 : 역량 구현 방식을 중심으로
    임유나 [2017]
  • 탈기능주의 교육과정 모형으로서의 아이덴티티 메타포: 역량기반교육과정의 대안적 설계
    손민호 [2016]
  • 초등학교 역량기반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
    김현진 [2017]
  •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 유형 탐색
    조현희 [2015]
  • 일반역량 교육 논의의 쟁점 분석
    황규호 [2017]
  • 이해중심 교육과정
    김경자 [2011]
  •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현장적용 사례 연구 : 호주와 뉴질랜드, 캐나다, 영구의 사례를 중심으로
    홍원표 [2010]
  • 역량중심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 술방식 탐색
    김선영 [2016]
  • 역량기반 학교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특징 분석: 교육과정 연구학교를 중심으로
    이주연 [2017]
  • 역량기반 수업 구현을 위한 지원 사례 탐색: 뉴질랜드 국가교육과 정 개발과 적용을 중심으로
    임유나 [2016]
  •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 연구:캐나다 퀘벡의 사례를 중심으로
    홍원표 [2011]
  • 역량 중심 사회과 수업 모형의 설계: ‘4Cs’를 중심으로
    이태성 [2018]
  • 역량 기반 교과 교육과정에서 기준과 수행의 의미
    백남진 [2014]
  • 생애능력 함양을 위한 실업교육 체제의 현황과 과제
    강경종 [2009]
  • 불확실성 시대의 학습의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기반 교육 과정의 대안적 방향 탐색: 존재론적 접근을 중심으로
    이상은 [2018]
  •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교과 교육과정 탐색: 교육과정, 교수․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를 중심으로
    이근호 [2013]
  •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․중등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
    이광우 [2009]
  •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․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(I): 핵심 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
    윤현진 [2008]
  •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
    이근호 [2012]
  • 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에 의한 2007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 과정 실행양상 해석
    한광웅 [2010]
  • 국가교육과정 기준 및 관련 규정 개선을 위한 소견
    성열관 [2018]
  • 교육과정 재구성 저해요인 탐색
    추광재 [2018]
  • 교육과정 실행 관점 국내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
    이윤미 [2015]
  • 교과 특수 역량에 기반한 성취기준 개발의 방향 탐색 : 호주, 캐나다, 싱가포르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
    백남진 [2014]
  • 고등학교 현장에서의 역량기반 교육과정-수업-평가 연계의 현실화 방안
    조수영 [2017]
  • 『2015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 최종안 개발연구』
    김경자 [2015]
  • 「교육과정 재구성 논쟁」
    서경혜 [2016]
  • Vygotsky and education : Instruction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sociohistorical psychology
    Moll, L. C. [1992]
  • Un-Standardizing curriculum: Multicultural teaching in the standards-based classroom
  • The what, why, and how of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: International mandates, challenges, and opportunities
    Gay, G. [2015]
  • The fourth way : The inspiring future for educational change
  •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: Executive summary
    OECD [2005]
  • Teaching in the knowledge society
  • Restructuring around standards: A practitioner's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
  • Reinventing the curriculum: New trends in curriculum policy and practice
    Sinnema, C. [2013]
  • Power and agency in education : Exploring the pedagogical dimensions of funds of knowledge
  • Navigating social justice literacies : the dynamics of teacher beliefs in teaching for social justice
    Cho, H. [2018]
  •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-functioning society
  • Implementing performance assessment
  • Funds of knowledge for teaching in Latino households
  • Designing standards-based districts, school and classrooms
  •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: Theory, research, and practice
    Gay, G. [2018]
  • Critical pedagogy : Constructing an arch of social dreaming and a doorway to hope
    McLaren, P. [1991]
  • Creating standards-based integrated curriculum
  • Crafting a third space : Integrative strategies for implementing critical citizenship education in a standards-based classroom
    Cho, H. [2018]
  • Are there common core standards in Finland?
  •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
  • 21st century skills: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
  •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별 교육내용 제시 방식 검토: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
    임유나 [2016]
  •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․응답 자료
  • 2015 개정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: 국가교육과정 각론 조정 연구
    이광우 [2015]
  •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역량의 타당성 분석: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중심 으로
    강이화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