동시대 미술에서 유희적 충동과 표현

박남희 2019년
' 동시대 미술에서 유희적 충동과 표현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ontemporary art
  • huizinga
  • humorous
  • interactive
  • nietzsche
  • participatory
  • play
  • playful impulse
  • 놀이
  • 니체
  • 동시대미술
  • 상호작용의
  • 유머러스함
  • 유희충동
  • 참여적인
  • 하위징아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646 0

0.0%

' 동시대 미술에서 유희적 충동과 표현' 의 참고문헌

  • 호모 루덴스
  • 실러(Friedrich von Schiller)의 미학에서 미적 교육의 예술 철학적 의미: 미 개념을 중심으로
    이지언 [2015]
  • 순수예술의 발명The Invention of Art
  • 사이버스페이스 시대의 미학
    심혜련 [2006]
  • 미학편지 :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실러의 미학이론
  • 디지털 아트
  • 니체의 "어린이의 정신"을 통해 본 놀이중심 유아교육의 방향 탐구
    류미향 [2016]
  • 놀이이론과 문화분석 -J. 호이징어와 R. 카이와의 놀이이론을 중심으로-
    최고원 [2011]
  • 놀이와 인간
  • 놀이에 대한 철학적 연구 -니체의 놀이 개념을 중심으로-
    정낙림 [2008]
  • 놀이사유의 근대적 유형과 니체의 비판 - 쉴러 비판을 중심으로
    정낙림 [2014]
  • 낭만주의의 뿌리
  • 「놀이하는 인간의 철학 - 호모 루덴스를 위한 철학사」
    정낙림 [2017]
  • ‘놀이’ 개념에 대한 동, 서양의 시각차에 관하여- ‘몰입’ 놀이와 ‘거리두기’ 놀이 -
    최고원 [2011]
  • Perspektive der Medienkunst
  • Grundzüge einer philosophischen Hermeneutik
  • Gedanken zu einer Ontologie des Spiels
    E. Fink [1957]
  • Eine kurze Geschichte des Scheins
    Nobert Bolz [1991]
  • E. 핑크의 놀이존재론(II)-세계상징으로서의 놀이
    김재철 [2013]
  • E. 핑크의 놀이존재론(I)-실존범주로서의 놀이
    김재철 [2013]
  • Also sprach Zarathustra; KSA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