후일담 소설의 젠더 지평

이채원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후일담 소설의 젠더 지평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father’s law
  • gender prospect
  • reminiscences
  • revolution
  • the chain of violence
  • 아버지의 이름
  • 젠더 지평
  • 폭력의 연쇄
  • 혁명
  • 후일담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84 0

0.0%

' 후일담 소설의 젠더 지평' 의 참고문헌

  • 회색눈사람
    최 윤 [2017]
  • 황석영, 연민과 구원의 문학
    이종문 [2017]
  • 황석영 장편소설에 나타난 귀환의 의미*-『장길산』과『오래된 정원』을 중심으로
    강용훈 [2007]
  • 지식인 주체의 생존 현실 인식과 저항의 서사 - 황석영의 『오래된 정원』을 중심으로
    권경미 [2013]
  • 저기 소리 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
    최 윤 [1988]
  • 오래된 정원 상
    황석영 [2000]
  • 오래된 정원 하
    황석영 [2000]
  • 여성운동 프레임과 주체의 변화
    박인혜 [2011]
  • 빛나는 성좌들 - 1980년대, 여성해방문학의 탄생
    이혜령 [2016]
  •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
  • 독일의 신주관성 문학과 한국의 후일담 문학 - 페터 슈나이더의 『렌쯔』와 공지영 작품을 중심으로
    허영재 [2008]
  • 도가니
    공지영 [2009]
  • 공지영과 김영하의 후일담 소설 연구
    박은태 [2006]
  • 공간의 의미와 시대의 재해석: 황석영의 『오래된 정원』 론
    전해림 [2016]
  • 고등어
    공지영 [1994]
  • “1980년대와 ‘민주화 운동’에 대한 ‘세대 기억’의 정치.”
    천정환 [2014]
  • ‘의거’와 ‘혁명’ 사이, 잊힌 여성의 서사들
    김주현 [2010]
  • ‘광장에 선 여성’과 말할 권리 : 1980년대 고정희의 글쓰기에 나타난 ‘젠더’와 ‘정치’
    김정은 [2018]
  • 386세대 여성 후일담과 성/속의 통과제의 —공지영과 김인숙의 소설을 대상으로
    김은하 [2010]
  • 1990년대 후일담 소설의 문학사적 연구
    박은태 [2008]
  • 1987년을 열었던 남영동의 시위
  • 1980년대를 ‘기억’하는 스토리텔링의 전략-<써니>와 <변호인>을 중심으로
    김지미 [2014]
  • 1980년대, 바리케이트 뒤편의 성(性) 전쟁과 여성해방문학 운동
    김은하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