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법교육 - 법교육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 -

심우민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법교육 - 법교육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 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-algorithm
  • artificial intelligence
  • lawrelatededucation
  • legal Knowledge
  • legal education
  • 법교육
  • 법지식
  • 법학 교육
  • 알고리즘
  • 인공지능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,299 0

0.0%

'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법교육 - 법교육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 -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의 법문화
    김정오 [2006]
  • 학교에서의 준법교육의 타당성 검토
    조우영 [2006]
  • 코드 2.0
    Lessig, L [2006]
  • 초중등 사회과 법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
    전제철 [2010]
  • 입법학의 기본관점: 입법논증론의 함의와 응용
    심우민 [2014]
  • 입법학 연구와 입법평가 - 법학과 사회과학 접목의 한계지점 -
    심우민 [2012]
  • 입법평가와 입법논증 : 연계 가능성 모색을 위한 시론적 연구
    심우민 [2010]
  • 인공지능의 발전과 알고리즘의 규제적 속성
    심우민 [2016]
  • 인공지능과 법패러다임 변화 가능성: 입법 실무 거버넌스에 대한 영향과 대응 과제를 중심으로
    심우민 [2017]
  • 인공지능 시대의 입법학
    심우민 [2018]
  • 인공지능 기술과 IT법체계: 법정보학적 함의를 중심으로
    심우민 [2018]
  • 역동적 자유
    Breyer, S [2008]
  • 사회과 교육과정
    교육부 [2015]
  • 보도자료: 법무부, 손안의 인공지능(AI) 법률비서 2세대 「버비」서비스 시작
  • 법학방법론
  • 법학방법론
    Engisch, K [2011]
  • 법교육지원법 개정 방향 및 내용 연구
    정상우 [2015]
  • 법교육의 역사와 현황 그리고 발전 방향
    박성혁 [2006]
  • 로봇이 책임과 권한의 주체일 수 있는가
    고인석 [2012]
  • 대안적 법교육 패러다임의 제안-형성적 법교육의 의의와 효과-
    송성민 [2014]
  • 뇌와 삶의 의미
    Thagard, P [2011]
  • 근대사회에서의 법: 사회이론의 비판을 위하여
    Unger, R. M [1994]
  • Why a right to explanation of automated decision-making does not exist in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
    Wachter, S [2017]
  • The Dark Secret at the Heart of AI
    Will Knight [2017]
  • Legisprudence: A New Theoretical Approach to Legislation
  • Law, culture, and cultural appropriation
    Merry, S. E [1998]
  • IT Law in the framework of Legal Informatics
    Seipel, P [2004]
  • European Union regulations on algorithmic decision-making and a “right to explanation
    Goodman, B [2017]
  • Big data: A tool for inclusion or exclusion
    Ramirez, E [2014]
  • Big Data: A Report on Algorithmic Systems, Opportunity, and Civil Rights
  • A.I. 플러스 - 미래 사회에 지능을 더하다: 인공지능이 바꾸는 법률 서비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