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디어 폭력성 수용 정도와 폭력 인식이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

논문상세정보
' 미디어 폭력성 수용 정도와 폭력 인식이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Perception
  • Students
  • intimatepartnerviolence
  • universities
  • violence
  • 대학교
  • 데이트 폭력
  • 인식
  • 폭력
  • 학생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,838 0

0.0%

' 미디어 폭력성 수용 정도와 폭력 인식이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폭력적 미디어물에의 노출이 공격성 및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
    박용한 [2014]
  • 성범죄 보도의 선정성과 음란물 노출이 남자 대학생의 성관련 감정, 인지, 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
    변인정 [2012]
  • 데이트 폭력 피해자의 연인과 폭력적 관계 유지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인 탐색: 텔레비전, 개인적 요인, 성별의 영향을 중심으로
    이선영 [2017]
  •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편견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- 폭력허용도와 관계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-
    정소영 [2011]
  •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가해 예측 요인
    강희순 [2014]
  • Violent video games and aggression : Causal relationship or byproduct of family violence and intrinsic violence motivation?
  •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alcohol, marijuana, angry affect, and dating violence perpetration: A daily diary study with female college students.
  • The Functions of Gender Role Traditionality, Ambivalent Sexism, Injury, and Frequency of Assault on Domestic Violence Perception
  • Social Desirability and Partner Agreement of Men’s Reporting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Substance Abuse Treatment Settings
  • Short-Term Exposure to Movie Violence and Implicit Aggression During Adolescence
    Qian Zhang [2018]
  • Providing Assistance to the Victims of Adolescent Dating Violence: A National Assessment of School Nurses' Practices
  •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girls: what does the evidence say?
    M. Ellsberg [2015]
  • Perceptions of Domestic Violence
  • Media and Technology in Adolescent Sexual Education and Safety
  • Justification of Violence and Grandiosity Schemas as Predictors of Antisocial Behavior in Adolescents
  • Extensiveness and persistence of aggressive media exposure as longitudinal risk factors for teen dating violence.
  • Digital Forms of Dating Violence
  • Address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mong Adolescents: Emerging Evidence of Effectivenes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