하안단구 퇴적층의 지구화학적 특성과 기원지 - 단양천, 금천 유역을 대상으로 -

논문상세정보
' 하안단구 퇴적층의 지구화학적 특성과 기원지 - 단양천, 금천 유역을 대상으로 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fluvial terrace deposit
  • fluvialterrace
  • geochemistry
  • loess
  • source area
  • 기원지
  • 뢰스
  • 지구화학
  • 하안단구
  • 하안단구 퇴적층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42 0

0.0%

' 하안단구 퇴적층의 지구화학적 특성과 기원지 - 단양천, 금천 유역을 대상으로 -' 의 참고문헌

  • 희토류원소를 이용한 순창지역 섬진강 수계내 하상퇴적물의 기원지 연구
    이승구 [2003]
  • 화학적 풍화지수(CIA)로 본 한반도 중남부 화강암류의 화학적 풍화 경향성
    김영래 [2011]
  • 한반도 남서부 나주 일대 화강암 구릉대의 적색화와 화학적 풍화 경향
    김영래 [2012]
  • 포항 조사리 해빈의 형성 과정과 계절적 변화
    채승철 [2014]
  • 충남 서산 해미지역 뢰스-고토양 연속층의 지구화학적 특성
    윤순옥 [2011]
  •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층의 퇴적물 기원지 분석
    이민부 [2007]
  • 진천분지 뢰스-고토양 연속층의 형성과 퇴적 환경
    윤순옥 [2013]
  • 전북 완주군 봉동 하안단구 상부 뢰스-고토양 연속층의 풍화특성과 기원지
    황상일 [2009]
  • 전북 부안 화강암지역 뢰스-고토양 연속층의 퇴적물 특성과 기원지
    박충선 [2007]
  • 이천지역 하상퇴적물의 입도별 지구화학특성을 이용한 기원지 규명
    이승구 [2004]
  • 영남(소백산)육괴 북동부 평해지역 화강편마암류의 SHRIMP U-Pb 저콘 연대
    김남훈 [2009]
  • 소백산맥 북부 영동영서 하천의 하각과 지형 발달
    조영동 [2017]
  • 대천지역 뢰스-고토양 연속층의 풍화특성
    윤순옥 [2007]
  • 경남 거창분지 정장리 뢰스-고토양 연속층의 퇴적물 특성과 편년
    황상일 [2011]
  • 강릉시 불화산 일대 뢰스 퇴적층의 형성 과정과 퇴적 환경
    박충선 [2014]
  • 강릉시 불화산 일대 뢰스 퇴적층의 지구화학적 특성
    박충선 [2015]
  • Weathering and global denudation
  • Using Geochemical data: Evaluation, presentation, interpretation
  • Unraveling the effects of potassium metasomatism in sedimentary rocks and paleosols, with implications for paleoweathering conditions and provenance
    Fedo, C. M [1995]
  • The continental crust: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
    Taylor SR [1985]
  • The Cr/Th ratio in Precambrian pelites from the Kaapvaal Craton as an index of craton evolution
  • Tectonomagmatism, -metamorphism, and -mineralization of the central Ogcheon belt, Korea (I): Sr, Nd and Pb isotopic systematics and geochemistry of granitic rocks in the Boeun area
  • Prediction of some weathering trends of plutonic and volcanic rocks based on thermodynamic and kinetic considerations
  • Origin and weathering properties of loess-paleosol sequence in the Goseong area on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
  • Geochemistry of the Mesoproterozoic Lakhanda shales in southeastern Yakutia, Russia: implications for mineralogical and provenance control, and recycling
  • Formation and diagenesis of weathering profiles
  • Explanatory note of the Andong sheet (1:250,00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