독일 헌법수호청에 관한 연구

명재진 2019년
' 독일 헌법수호청에 관한 연구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ollecting domestic information
  • Constitutional Court system
  • Federal Office for the Protection of Constitution
  • liberal democratic basic order
  • militant democracy
  • 국내정보수집
  • 독일연방헌법수호청
  • 방어적 민주주의
  • 자유민주적 기본질서
  • 헌법재판제도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97 0

0.0%

' 독일 헌법수호청에 관한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헌법충실원칙에 관한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해석과 그 비판
    이종수 [2000]
  • 한국헌법론
    허 영, [2018]
  • 한국과 독일의 사회통합정책 연구: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중심으로
    이성순 [2011]
  • 정당해산제도의 딜레마 -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독일 민족민주당 사건을 중심으로-
    송석윤 [2010]
  • 정당해산심판의 헌법적 쟁점 ― 정당해산심판의 요건과 효과를 중심으로 ―
    정만희 [2014]
  • 전투적 민주주의(Militant Democracy)로부터의 민주주의 수호
    이재희 [2014]
  • 유럽인권재판소의 정당해산 심판기준
    윤정인 [2014]
  • 방어적 민주주의에 대한 헌법학적 연구 - 반(反)테러리즘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-
    김종현 [2016]
  • 민주공화국과 정당해산제도 - 통합진보당 해산심판청구를 소재로 -
    김종철 [2014]
  • 독일의 헌법수호제도
    정극원 [2008]
  • 독일의 공무원제도와 공직임명 및 수행에 요구되는 기준에 관한 연구 - 규범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-
    최우정 [2008]
  • 독일 헌법보호청의 폐해와 통제
  • 독일 연방헌법수호청의 조직과 활동
    최윤철 [2004]
  • 독일 기본법의 “방어적 민주주의” 원리: 그 헌법이론적 논거의 배경
    오향미 [2011]
  • 독일 기본법상의 자유롭고 민주적인 기본질서
    박병섭 [1995]
  • 독일 기본법상 헌법충실과 헌법재판
    이부하 [2007]
  • 다문화주의에서 시민통합으로: 네덜란드의 이민자 통합정책
    설동훈 [2013]
  • “한국과 독일의 사회통합 비교: 불평등과 다문화주의를 중 심으로”
    전태국 [2014]
  • “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에 대한 소고”
    한희원 [2016]
  • Neue Maßstäbe für den Verfassungsschutzbericht –Konsequenzen aus dem JF-Beschluss des BVerfG
  • Militant Democracy and Fundamental Rights I
  • Grundgesetz-Kommentar
    Maunz [2018]
  • Die neuen Regeln für den Einsatz von Vertrauensleuten durch das Bundesamt für Verfassungsschutz
  • Die Antinomie des Verfassungsschutzes
  • Der Verfassungsschutzbericht - das scharfe Schwert derstreitbaren Demokratie - Zur Problematik der Verdachtsberichterstattung
  • Beobachtung von Abgeordneten durch den Verfassungsschutz