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어과에서 ‘빅 아이디어’의 의미와 역할 탐색

서영진 2019년
' 국어과에서 ‘빅 아이디어’의 의미와 역할 탐색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
  •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
  • Big Idea
  • Core Concept
  • Korean Language
  • Meaning
  • Role
  • 국어과
  • 빅 아이디어
  • 역할
  • 의미
  • 핵심 개념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160 0

0.0%

' 국어과에서 ‘빅 아이디어’의 의미와 역할 탐색' 의 참고문헌

  • 학문융합 관점에서 본 현대교육의 이론적-실천적 변화 모색
    노상우 [2012]
  • 프랑스의 자국어 교육과정 다시 읽기
    김현정 [2015]
  • 문․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시안 개발 연구(총괄)
    김경자 [2014]
  • 문·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논의와 국어과 교육과정의 시계열적 구조화
    김창원 [2015]
  • 국어교육의 융‧복합교육 기능과 작용
    박인기 [2016]
  • 국어과 교육과정의 쟁점과 체계화 방안
    박영민 [2017]
  • 국어과 교육과정의 생태학(2):2011년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쟁점과 그 해소
    김창원 [2012]
  • 국어과 교육과정의 생태학(1): 2011년 교육과정 개정에 관한 성찰
    김창원 [2011]
  • 국어과 교육과정 발전을 위한 논제:개념과 목표 - 2015 교육과정 개정의 점검을 바탕으로 -
    김창원 [2016]
  •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과 결과에 대한 비판적 고찰 - 2009 개정에서 2015 개정을 중심으로
    박미연 [2018]
  • 국어과 교육 내용 범주 구분 양상과 개선의 시사점
    김명순 [2018]
  • 국어 문법교육에서 ‘이해 중심 교육과정’의 한계와 의미
    남가영 [2017]
  • 국어 교과의 정당성과 정체성에 대한 회의
    김창원 [2009]
  • 국가교육과정 무엇을 왜 개정하는가?
    김경자 [2014]
  • 교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
    민용성 [2018]
  • 『2015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 최종안 개발연구』
    김경자 [2015]
  • 2015 국어과 교육과정 작문 영역의 쟁점과 과제
    박영민 [2016]
  • 2015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국어과 교육과정 발전의 논제 - 영역과 내용 체계
    김창원 [2016]
  • 2015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양상과 교육과정발전을 위한 논제
    김창원 [2016]
  • 2015 교육과정 ‘문법’ 영역에 대한 비판적 검토
    구본관 [2016]
  •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
    모경환 [2016]
  •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
  •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
  • 2015 개정 교과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Ⅰ- 국어과교육과정
    김창원 [2015]
  •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Ⅱ: 국어과 교육과정
    김창원 [2015]
  •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⋅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
    김현경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