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매를 든 어머니’로 상징되는 戰後 成長小說의 暴力性 -마당 깊은 집, 장난감 도시,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를 대상으로-

김경민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‘매를 든 어머니’로 상징되는 戰後 成長小說의 暴力性 -마당 깊은 집, 장난감 도시,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를 대상으로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Bildungsroman
  • Caned Children
  • Compulsion
  • The Korean War
  • post-war society
  • violence
  • widow
  • 寡婦(未亡人)
  • 强迫
  • 成長小說
  • 戰後 社會
  • 暴力性
  • 매 맞는 아이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636 0

0.0%

' ‘매를 든 어머니’로 상징되는 戰後 成長小說의 暴力性 -마당 깊은 집, 장난감 도시,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를 대상으로-' 의 참고문헌

  • 책임감과 기억확신이 강박증상에 미치는 영향: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
    송민정 [2011]
  • 전후 국가 근대화와 위험한 미망인의 문화정치학 -정비석의 <유혹의 강>(1958)을 대상으로
    김은하 [2010]
  • 장난감 도시
    이동하 [2009]
  • 장난감 도시
    우찬제 [2009]
  • 일인칭 서사 주체의 목소리 중첩과 서사교육- 김원일의 <마당 깊은 집>을 중심으로
    선주원 [2006]
  • 소년들의 도시, 전쟁과 빈곤의 정치학- 이동하의 『장난감 도시』와 김원일의 『마당 깊은 집』을 중심으로
    김한식 [2010]
  • 박경리 초기소설의 여성가장 연구 - 전쟁미망인 담론을 중심으로-
    서재원 [2011]
  • 마당 깊은 집
    김원일 [2002]
  • 고기잡이는 갈대를 꺾지 않는다
    김주영 [2001]
  • 강박증에 대한 프로이트적 정의와 원인에 대한 비판적 분석
    문장수 [2015]
  • 1954년 대구, 피난지 소년의 가족 로망스 - 이동하 『장난감 도시』, 김원일 『마당깊은 집』 읽기
    류동규 [201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