崔仁勳의 화두에 대한 比較文學的 硏究

안서현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崔仁勳의 화두에 대한 比較文學的 硏究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The Topic(Hwadoo)
  • 잃어버린 時間을 찾아서
  • Finding Lost Time
  • choi in-hoon
  • memory
  • phenomenology
  • proust
  • 崔仁勳
  • 기억
  • 프루스트
  • 현상학
  • 화두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,715 0

0.0%

' 崔仁勳의 화두에 대한 比較文學的 硏究' 의 참고문헌

  • 「두만강」에서 「바다의 편지」까지
    최인훈 [2009]
  • 화두 1~2, 최인훈 전집 14~15
    최인훈 [2008]
  • 프루스트 소설의 철학적 독서
    김희영 [1997]
  • 최인훈의『화두』에 나타난 애도와 기억
    구재진 [2015]
  • 최인훈의 예술론과 '화두'의 구조적 특성
    김기우 [2006]
  • 최인훈의 『화두』와 조명희의 「낙동강」-‘월남문학론’의 맥락에서
    방민호 [2014]
  • 최인훈 전집 14
    김병익 [2008]
  • 최인훈 소설에서의 기억의 문제- <회색인>과 <서유기>를 중심으로
    설혜경 [2007]
  •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노스탤지어와 역사 감각
    구재진 [2007]
  •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공동체적 기억과 민족 담론
    구재진 [2007]
  •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‘기억’과 ‘반복’의 의미에 대한 연구: 『구운몽』, 『회색인』, 『서유기』, 「서유기」를 중심으로
    남은혜 [2016]
  • 체제변화 속의 기억과 문학-최인훈의 장편『화두』
    김주연 [1994]
  •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-되찾은 시간
  •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~6
  • 시사저널
  • 디아스포라 지식인의 사유와 무국적 텍스트들의 향방 - 최인훈의 ≪화두≫론 -
    서세림 [2016]
  • 도서신문
  • 기억의 확장과 서사적 진실 - 최인훈 소설 <서유기>와 <화두>를 중심으로
    김인호 [2005]
  • 「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‘기억하기’와 탈식민성 - 『서유기』를 중심으로」
    구재진 [2004]
  • Exile and Late Style through Conversation with Modern Literature
  • Books and Reading in the Novels of Choi In-Hu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