노인의 자녀 사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

논문상세정보
' 노인의 자녀 사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hild bereavement
  • old age
  • phenomenological study
  • the elderly
  • “현상학적연구”
  • 노년기
  • 노인
  • 자녀사별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,574 0

0.0%

' 노인의 자녀 사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
    신경림 [2004]
  • 청소년 자녀와 사별한 부모의 부부관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: 세월호 유가족의 경험을 중심으로
    신지영 [2018]
  • 좋은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
    한나영 [2002]
  • 자살피해자의 승화하기 경험
    김용분 [2006]
  • 자살자 자녀를 둔 농촌지역 어머니의 경험
    윤명숙 [2010]
  • 애도: 상실과 마주하고 상실과 더불어 살아가기
    Kast. V. [2015]
  • 세월호 희생 학부모의 심리경험
    박찬희 [2017]
  • 세월호 참사 후 희생자 부모의 건강상태 변화
    양상은 [2018]
  •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사회적 지지, 갈등, 고립경험에 관한 연구
    이동훈 [2017]
  • 세월호 유가족의 자녀상실 경험연구
    김은미 [2018]
  •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
    Padgett, D. [2005]
  • 노인이 인지하는 '좋은 죽음' 의미 연구-'복(福) 있는 죽음'-
    김미혜 [2004]
  •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
    이명숙 [2013]
  • 노인의 상담경험과 상담욕구가 상담기대감에 미치는 영향: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중심으로
    정순둘 [2015]
  • 『한국인의 죽음과 삶』
    김열규 [2001]
  • 『한 말씀만 하소서』
    박완서 [2004]
  • 『인간의 이해 -철학적 인간학 입문-』
    이석호 [2001]
  • 『상담의 이론적 접근』
    이형득 [2000]
  • 『난중일기』
    노승석 [2014]
  • “한국인의 행복과 좋은 죽음에 대한 표상과 인식의 특징”
    김명숙 [2012]
  • “종교와 사회복지의 접점-종교의 사회적 책임과 복지활동의 실제”
    전명수 [2012]
  • “종교 사회복지의 성격과 과제”
    노길명 [2010]
  • “자살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경험-참척(慘慽) 고통과 화해”
    김가득 [2012]
  • “자살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의 생존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사례연구”
    박지영 [2010]
  • Use of Facebook in the maternal grief process: An exploratory qualitative study
    Perluxo, D. [2018]
  • The suffering in silence of older parents whose child died of cancer: A qualitative study
  • The continuing process of parental grief
    Arnold, J. [2008]
  •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Psychology: A Modified Husserlian Approach
    Giorgi, A [2009]
  • Temporal trends in spirituality research: A meta-analysis of journal abstracts between 1944 and 2003
    Ribaudo, A. [2008]
  • Symptomatology and management of acute grief
  • Spiritual beliefs may affect outcome of bereavement: prospective study
    Walsh, K. [2002]
  • Scott and White grief study—Phase 2: Toward an adaptive model of grief
  • Religion/spirituality and change in meaning after bereavement:Qualitative evidence for the meaning making model
  • Reflections on the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recreation-based bereavement camp for families whose child has died from serious illness
    Hanlon, P. [2018]
  •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
    Giorgi, A. [1985]
  • Parental bereavement: The crisis of meaning
    Wheeler, I [2001]
  • Parental bereavement increases mortality in older persons
  • Parental bereavement during mid-to-later life: Pre-to post bereavement functioning and intrapersonal resources for coping
  • Naturalistic inquiry
  • Man’ s search for meaning
  • In sure and uncertain faith: belief and coping with loss of spouse in later life
  • Growth following adversity: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
    Joseph, S. [2006]
  • Grief: Contemporary theory and the practice of ministry
  •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
  • Death and dying: elderly persons’ experiences of grief over the loss of family members
  • Comment on Slack’s article
  • Clinical psychology of aging
    Woods [2008]
  • Clinical Handbook of Bereavement and Grief Reactions
  • An integral theory of consciousness
    Wilber, K [1997]
  • 2017 고령자통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