역사를 뚫고 솟아난 귀수성의 세계 - 신동엽의 금강 읽기 -

정명중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역사를 뚫고 솟아난 귀수성의 세계 - 신동엽의 금강 읽기 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Geumgang
  • Peasant War
  • Poet Mentalism
  • Shin Dong – yup
  • apocalypse
  • 금강
  • 농민전쟁
  • 묵시록
  • 시인정신론
  • 신동엽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97 0

0.0%

' 역사를 뚫고 솟아난 귀수성의 세계 - 신동엽의 금강 읽기 -' 의 참고문헌

  • 현대독일문학의 경향과 특징
    이주동 [2007]
  • 한국문학과 재일조선인 문학, 그 친연성과 거리- 신동엽의 『금강』과 허남기의 『화승총의 노래』의 대비를 중심으로
    이정석 [2007]
  • 탈주와 회구의 상상력-신동엽론
    김화선 [1999]
  • 차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
  •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 말 풀이사전
    박남일 [2011]
  • 신동엽의 서사시 『금강』에 나타난 모성담론
    임현준 [2011]
  • 신동엽의 서사시 『금강』 연구-『금강』의 역사의식과 탈역사성
    이영섭 [1995]
  • 신동엽의 『금강』에 나타난 자연 표상과 아나키즘
    한상철 [2016]
  • 신동엽의 <금강>에 나타난 서사 구조와 작가의식 동학과의 관련을 중심으로
    지현배 [2013]
  • 신동엽론-민족·민중시와 도가적 상상력
    김종철 [1989]
  • 신동엽과 쟝허의 ‘서사시’를 통한 ‘저항성’ 비교 연구
    이미옥 [2015]
  • 서사시 『금강』의 문화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
    강상대 [2006]
  • 사회생태학의 관점으로 본 신동엽의 시 - 『금강』을 중심으로
    손민달 [2016]
  •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
  • 박경리 『토지』와 신동엽 『금강』의 동학 담론
    박상민 [2017]
  • 민중서사시의 미학과 침묵의 언어-『금강』과 『우리 모두의 노래』를 중심으로
    송병선 [2003]
  • 민족시인 신동엽
    김우창 [1999]
  • 민족시인 신동엽
    김주연 [1999]
  • 민족시인 신동엽
    최유찬 [1999]
  • 동학의 코드와 한국학적 가치 - 신동엽과 권정생 작품을 중심으로
    지현배 [2018]
  • 『신동엽전집』
    신동엽 [1985]
  • 『금강』의 에로스적 상상력 연구
    이혜미 [2012]
  • 『금강』의 서사양식 수용과 서술기법
    김홍진 [2009]
  • 「신동엽의 시론 연구」
    오문석 [2014]
  • 「신동엽의 ‘금강’에 나타난 공동체 연구 : 동학농민운동을 중심으로」
    최도식 [2016]
  • 「신동엽 시의 유토피아 의식 연구」
    김경복 [2013]
  • 「신동엽 시와 ‘금강’의 층위」
    남기택 [2017]
  • 「신동엽 시에 나타난 ‘탈주’의 의미」
    박정근 [2017]
  • 「신동엽 서사시의 성취와 의의 : 『금강』의 서정성을 중심으로」,
    이나영 [2017]
  • 「미적 근대의 복원 : 신동엽의 『금강』론」
    한상철 [1999]
  • "귀수성(歸數性)"과 동학혁명운동의 현재적 가능성
    홍용희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