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상과 과학의 시대 - 1960년대 후반 어린이 관객의 형성과 애니메이션과 괴수영화 출현의 의미 -

공영민 2019년
논문상세정보
' 공상과 과학의 시대 - 1960년대 후반 어린이 관객의 형성과 애니메이션과 괴수영화 출현의 의미 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<대괴수 용가리>(1967)
  • <홍길동>(1967)
  • Hong Gil Dong(1967)
  • The Great Monster Yongary(1967)
  • animation
  • children audience
  • monster film
  • 괴수영화
  • 애니메이션
  • 어린이 관객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642 0

0.0%

' 공상과 과학의 시대 - 1960년대 후반 어린이 관객의 형성과 애니메이션과 괴수영화 출현의 의미 -' 의 참고문헌

  • 홍길동
  • 한국영화를 말한다:한국영화의 르네상스 1
    심혜경 [2005]
  • 한국만화통사(하) : 1945년 이후
    손상익 [1998]
  • 한국만화걸작선 6:신동우 컬렉션-날쌘돌이에서 홍길동까지
    신동우 [2007]
  • 한국 애니메이션 열전: 일제시대~1978 이전 작품과 인물을 중심으로, 기획영상전:한국애니메이션 1967~
  • 한국 소년SF영화와 냉전 서사의 두 방식 - <대괴수 용가리>와 <우주괴인 왕마귀>의 개작 과정 연구
    송효정 [2015]
  • 옛날신문
  •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: 1965~1966
  • 부산국제영화제, 김기덕: 60년대 한국 대중․장르영화의 최전선
  • 매일경제
  • 대괴수 용가리
  • 다시 보는 우리만화 1950~1969
    한영주 [2001]
  • 『한국영화 정책사』
    김동호 [2005]
  • 『동아일보』
  • 『대한일보』
  • ≪조선일보≫
  • ≪경향신문≫
  • 6-70년대 한국 애니메이션의 위치 - <홍길동>에서 <똘이장군>까지
    공영민 [2004]
  • 2016년 한국영화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<주제사> 1960~1970년대 한국영화산업의 변화:김기덕․김수동․김종래
    공영민 [2016]
  • 2014년 한국영화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<주제사> 합작영화 2:문금순․박행철․안정무
    공영민 [2014]
  • 2008년 한국영화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<생애사> 「신동헌」
    심혜경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