『여지도서』의 편찬시기와 항목구성 및 신설항목의 유래

이재두 2019년
' 『여지도서』의 편찬시기와 항목구성 및 신설항목의 유래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『신증동국여지승람(新增東國輿地勝覽)』
  • Eupji (邑誌
  • Eupji Compilation project (邑誌編纂事業)
  • Sinjeung Dongguk Yeojiseungram (新增東國輿地勝覽)
  • Yeojidoseo (輿地圖書)
  • local gazetteer)
  • new items (新設項目).
  • 『여지도서(輿地圖書)』
  • 『읍지(邑誌)』
  • 신설항목(新設項目).
  • 읍지 편찬사업(邑誌編纂事業)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4 0

0.0%

' 『여지도서』의 편찬시기와 항목구성 및 신설항목의 유래' 의 참고문헌

  • 禮敎의 가늠자: 조선시대 경상도 지역 지리지 ‘風俗’조의 검토
    김지영 [2018]
  • 헌산지
  • 함주지
  • 한국지도의 역사
    방동인 [2001]
  • 한국의 관찬 지리지
    이성무 [1982]
  • 포산지
  • 평양지
  • 평양을 담다
    이은주 [2016]
  • 진양지
  • 지식인이 바라본 조선후기 관찬지리지 제작 - 영․정조 연간의 지리지를 중심으로 -
    정대영 [2017]
  • 조선후기 풍속지리 문헌에 나타난 關北 지역과 그 인식의 차이
    정우봉 [2015]
  • 조선후기 역사지리학 연구
    박인호 [1996]
  •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하관의 변화
    배우성 [1998]
  • 조선초기 지리지의 편찬(Ⅱ, 완)
    정두희 [1976]
  • 조선초기 지리지의 편찬(Ⅰ)
    정두희 [1976]
  • 조선전기 사림파의 현실인식과 대응
    이병휴 [1999]
  • 조선역사
    김성칠 [1947]
  • 조선시대 咸鏡道 지역사 試論 - 奎章閣소장 地理志자료를 중심으로 -
    김백철 [2017]
  • 조선 후기 『대구읍지』 편찬과 사족의 대응 - 과거편과 인물편의 인물 수록 시기 분석을 중심으로 -
    이재두 [2016]
  • 조선 중기 사찬읍지에 관한 연구
    양보경 [1998]
  • 전주대학교 고전국역총서 여지도서
    변주승 [2009]
  • 임란 이후 순천지역 사족의 변화와 『승평지』 편찬
    이욱 [2016]
  • 이재난고
  • 의령남해읍지
  • 유형원의 동국여지지에 대한 일고찰
    박인호 [1989]
  • 오운과 함주지
    김순희 [2004]
  • 영주지(취사본)
  • 영조연간 전국지리지 『輿地圖書』의 서지적 연구
    정대영 [2016]
  • 영가지, 안동의 가장 오래된 종합 인문지리지
    임세권 [2016]
  • 영가지
  • 역주 울산지리지 Ⅰ
    성범중 [2014]
  • 여지도서 상⋅하
  • 여지도서
  • 신증동국여지승람
  • 승평지
  • 세종실록 지리지
  • 상산지
  • 부사 성여신
    강문식 [2015]
  • 동춘당집
  • 동국여지지
  • 동국여지승람 권11-13(1485, 가람고귀 915.1-N659d)
  • 국역영주삼읍지
  • 구당 조목수의 상산지 초책 고
    금중현 [2013]
  • 고종대 邑誌의 연대분류 試論 - 규장각 자료의 書誌비교를 중심으로 -
    김백철 [2016]
  • 고등학교 역사 국사
    이병도 [1956]
  • 경상도속찬지리지
  • 경산하양읍지
  • 黃胤錫의 1775년 全國 地理誌 編纂 凡例의 특징 분석 - 1775년 무렵 弘文館의 전국 지리지 편찬 關例의 復元 시도 -
    이건식 [2008]
  • 『헌산지』에 실린 『여지도서』의 목차와 편찬 규정
    이재두 [2017]
  • 『조선시대 지방행정사』
    이수건, [1989]
  • 『여지도서』의 누락읍지 보완과 수록순서 보정
    이재두 [2018]
  • 『신증동국여지승람』 효자편의 효행 사례와 정표 유형
    이재두 [2015]
  • 『경상도 지리지』
  • 『輿地圖書』에 나타난 田結稅 항목의 텍스트적 이해
    이철성 [2006]
  • 『輿地圖書』 ‘姓氏’조의 검토
    김우철 [2006]
  • 『杞人閒商量』, 19세기 초 洪羲祖가 바라본 조선의 지리지 제작
    정대영 [2015]
  • 『新增東國輿地勝覽』과 『輿地圖書』의 邑史 資料 비교, 활용 - 전라도를 중심으로 -
    김태웅 [2017]
  • 「조선시대 읍지의 성격과 지리적 인식에 관한 연구」
    양보경 [1987]
  • 「『輿地圖書』의 성격과 道別특성」
    변주승 [2006]
  • ‘소규모 지역’에 있어서 지역 정체성의 재현과 지역지의 서술 체재에 관한 연구
    전종한 [2012]
  • 18세기말 전국 지리지 『해동여지통재(海東輿地通載)』의 추적
    양진석 [2013]
  • 18세기 지리서⋅지도의 제작과 국가의 지방지배
    양보경 [1997]
  • 18세기 전국지리지 편찬과 지리지 인식의 변화
    배우성 [1996]
  • 1793년 『호남읍지』의 편찬과 그 의미
    이재두 [2018]
  • 1768년 개발한 『경상도읍지』 유형의 확산과 정착
    이재두 [2018]
  • 16~17세기 寒岡 鄭逑의 地理志 편찬
    김문식 [2006]
  • 1635년(인조 13) 현풍현감 김세렴의 『포산지』 편찬
    이재두 [20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