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법 항목의 의미·기능 제시 방안 연구 - ‘-잖아(요)’의 다의성·다기능성에 대한 원형 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-

장채린 2019년
' 문법 항목의 의미·기능 제시 방안 연구 - ‘-잖아(요)’의 다의성·다기능성에 대한 원형 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-janha(yo)
  • cognitive approach to meanings of final endings
  • hierarchy of the meanings of a grammatical form
  • korean grammar education
  • polysemy
  • prototype theory
  • 다의성
  • 원형 이론
  • 잖아(요)
  • 종결어미의 의미에 대한 인지적 접근문법 항목 의미의 위계화
  • 한국어문법교육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392 0

0.0%

' 문법 항목의 의미·기능 제시 방안 연구 - ‘-잖아(요)’의 다의성·다기능성에 대한 원형 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-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어 다의어 교육의 현황과 전망
    문금현 [2005]
  • 코퍼스에 기반한 ‘-잖다’의 화행적 특성 고찰
    강현화 [2009]
  • 코퍼스상의 빈도가 동사 어휘 교육에 주는 효용성
    강현화 [2000]
  • 코퍼스를 이용한 부사의 어휘 교육 방안 연구
    강현화 [2000]
  •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
    김유정 [1998]
  • 다의성 연구
    노명현 [2004]
  • 다의성 동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하여 -‘보다’를 중심으로-
    고경태 [2008]
  • 「한국어 교육에서 기초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연구」
    김제열 [2001]
  • 「재미있는 한국어 3」
  • -잖아(요)와 “-거든(요)”의 의미-화용 복잡도
    김은혜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