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무능한 남성’과 ‘불온한 예술가’, 그리고 여성혐오-여성주의 시각으로 김수영 문학을 다시 읽는 일

조연정 2019년
' ‘무능한 남성’과 ‘불온한 예술가’, 그리고 여성혐오-여성주의 시각으로 김수영 문학을 다시 읽는 일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여편네
  • -시-
  • Self-hatred
  • freedom.
  • genderhierarchy
  • kim soo-young
  • life
  • misigyny
  • poetry
  • wife
  • 생활
  • 여성 혐오
  • 자기혐오
  • 자유
  • 젠더위계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670 0

0.0%

' ‘무능한 남성’과 ‘불온한 예술가’, 그리고 여성혐오-여성주의 시각으로 김수영 문학을 다시 읽는 일' 의 참고문헌

  • 「외딴방」이 묻는 것과 이룬 것
    백낙청 [1999]
  • 혐오와 수치심―인간다움을 파괴하는 감정들
  • 페미니즘으로 김수영의 시를 읽을 때―여성주의 언어와 감성적 혁명의 모색
    김영희 [2017]
  • 페미니즘 이후의 문학
  • 페미니즘 리부트
    손희정 [2017]
  • 죄의식과 부끄러움
    서영채 [2017]
  • 전후 남성성 회복과 여성 욕망의 금기 — 최정희의 『끝없는 浪漫』을 중심으로
    오태영 [2018]
  • 전진(하지 못)했던 페미니즘—2000년대 문학 담론과 ‘젠더 패러독스’의 패러독스
    백지은 [2018]
  • 자본, 노동, 성(性); ‘불온’을 넘어, 「반시론」의 반어
    박지영 [2014]
  • 운동의 윤리와 캠페인의 모럴 -‘시와 정치’ 논쟁에 대한 프래그머틱한 부기(附記)
    정한아 [2012]
  • 여성혐오(misogyny) 시의 가능성과 불가능성
    임지연 [2017]
  •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
  • 빛나는 성좌들 - 1980년대, 여성해방문학의 탄생
    이혜령 [2016]
  • 비평 시대의 젠더적 기원과 그 불만—「분례기」에서 「객지」로, 노동 공간의 전환과 ‘노동(자)-남성성’의 구축
    소영현 [2018]
  •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
    오혜진 [2018]
  • 남자가 없다고 상상해봐 - 1960년대 초남성적 사회의 거울상으로서 『완전사회』
    허윤 [2018]
  • 남성성과 문화
  • 김수영의 전통 인식과 자유주의 재론 -「거대한 뿌리」(1964)를 중심으로-
    박연희 [2011]
  • 김수영의 연인
    김현경 [2013]
  • 김수영, 신화인가 현재인가
    오연경 [2018]
  • 김수영, 반여성주의에서 반반의 미학으로
    조영복 [2001]
  • 김수영 평전
    최하림 [2001]
  • 김수영 전집 2-산문
    이영준 [2018]
  • 김수영 전집 1. 시
    이영준 [2018]
  • 김수영 시의 예술성에 관한 연구 : 그의 사물시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
    강웅식 [2017]
  • 김수영 시의 성(性)의 정치학
    김문주 [2013]
  • 김수영 시에 나타난 바타이유의 영향 - 에로티즘을 중심으로
    이미순 [2007]
  • 김수영 시에 나타난 남성성과 ‘아버지’
    이경수 [2017]
  • 김수영 시에 나타나는 ‘아내’와 ‘여편네’의 정치성
    박지해 [2013]
  • 그런 남자는 없다―혐오사회에서 한국 남성성 질문하기
    허윤 [2017]
  • 개인과 사회, 그리고 여성 - 1950∼1960년대 문학의 내면과 젠더
    강지윤 [2018]
  • 『청맥』의 제3세계적 시각과 김수영의 민족문학론
    박연희 [2017]
  • 『여성문학을 넘어서』
    김미현 [2002]
  • 『문학의 아토포스』
    진은영 [2014]
  • 「현장과 육체-『창작과 비평』의 민중지향성 분석」
    손유경 [2015]
  • 「민족문학론의 인식 구조-1960~70년대 백낙청의 김수영론에 대한 비판적 독해」
    강동호 [2016]
  • 「『창작과 비평』과 김수영」
    임지연 [2015]
  • 「1970년대 『창작과 비평』의 민중시 담론」
    박연희 [2014]
  • ‘시적인 것’과 ‘정치적인 것’ -김수영의 시론 「시여, 침을 뱉어라」를 중심으로
    김행숙 [2009]
  • ‘고요한 아침의 나라’와 ‘떠오르는 태양의 나라’ ―이자벨라 버드 비숍과 조지 커즌의 동아시아 여행기
    박지향 [2001]
  • 90년대 한국 ‘여성문학’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―여성작가 소설에 대한 담론을 중심으로
    김영옥 [2002]
  • 1980년대, 바리케이트 뒤편의 성(性) 전쟁과 여성해방문학 운동
    김은하 [2017]
  • 1980년대 여성운동 잡지와 문학논쟁의 의미 - 『또하나의 문화』, 『여성』을 중심으로
    이선옥 [2018]
  • 1980년대 여성시의 주체와 정동 - 최승자‧김혜순‧허수경의 시를 중심으로
    이경수 [2018]
  •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 -고정희 시를 읽기 위한 시론(試論)-
    조연정 [2016]
  • 1960년대 한국시의 정동(情動)과 이미지의 정치학(1) -김수영의 경우-
    조강석 [2015]
  • 1960-70년대 가정주부(아내)의 형성과 젠더정치: 여원, 주부생활 잡지 담론을 중심으로
    장미경 [2007]
  • (좌담) 김수영 50주기, 김수영을 ‘다시’ 그리고 ‘달리’ 읽기 위하여
    이영준 [2018]
  • (인터뷰) 내일 아침에는 부부(夫婦)가 되자, 집은 산 너머가 좋지 않으냐―부인 김현경 여사에게 듣는 김수영의 삶과 문학
    신수정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