디지털 게임으로 포스트휴먼 상상하기: <니어: 오토마타>에서 나타나는포스트게임성을 중심으로

논문상세정보

' 디지털 게임으로 포스트휴먼 상상하기: <니어: 오토마타>에서 나타나는포스트게임성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할리우드 스펙터클 영화의 숭고와 이데올로기
    김미숙 문학과 영상 12 4 895-926 [2011]
  • 포스트휴먼 진화—사이언스 픽션을 통해 본 인간과 인공 피조물과의 진화적 관계
    송호림 영어영문학21 26 3 53-74 [2013]
  • 포스트휴먼 시대의 사이보그 시민의식—윌리엄 깁슨의『뉴로맨서』
    이정희 영어영문학 59 5 811-835 [2013]
  • 포스트휴먼 시대에 다시 읽는 피노키오의 모험
    유영종 동화와 번역 30 195-214 [2015]
  • 포스트휴먼 사회를 사유하기 위한 하나의 청사진: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-정치학
    김재희 범한철학 72 1 387-414 [2014]
  • 트랜스휴먼 및 포스트휴먼 그리고 안드로이드(로봇)에 대한 형법상 범죄주체의 인정여부
    송승현 홍익법학 17 3 475-527 [2016]
  • 인지과학과 이미지의 문화정치-유비쿼터스 시대의 영상문화연구의 과제와 전망-
    심광현 시대와 철학 24 2 179-231 [2013]
  •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
  • 우리는 어떻게 공포를 느끼게 되었는가
    Asma, S. T. Korea Skeptic - [2015]
  • 영화의 접속 기표와 포스트-휴머니즘 재현 : 인간과 기계의 관계에 관한 내포 연구
    이수진 기호학 연구 32 197-219 [2012]
  • 사이보그와 가상현실 이미지를 통해 본 포스트휴먼 자아 - 마리코 모리의 작품을 중심으로 -
    이주은 인문콘텐츠 32 141-162 [2014]
  • 보생명과 움벨트 개념 탐색: 환경 교육의 관점에서
    김남수 환경철학 16 1-34 [2013]
  • 들뢰즈/가타리의 ‘동물-되기’와 윌버의 의식 구조
    배철영 철학연구 113 165-188 [2010]
  • 동물이 보는 세계, 인간이 보는 세계
  • 그림책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인물의 특징
    김태경 유아교육연구 36 6 349-374 [2016]
  • 감각중심 디지털 문화와 포스트휴먼 징후로서 ‘호모 센수스(homo sensus)’의 출현
    이수안 문화와 사회 18 127-168 [2015]
  • 人, 物의 二元的 權利體系의 變化 -동물의 물건성과 인격성-
    양재모 한양법학 26 289-303 [2009]
  • What Is It Like to Be a Bat?
    Nagel, T. The Philosophical Review 83 4 435-450 [1974]
  • Parables of the Posthuman : Digital Realities, Gaming, and he Player Experience
  • Monsters on the Brain : An Evolutionary Epistemology of Horror
    Asma, S. T. Social Research 81 4 941-968 [2014]
  • Molecular Mario: The Becoming-Animal of Video Game Compositions
    Cremin, C Games and Culture 11 4 441-458 [2016]
  • Could Killer Robots Bring World Peace?
    John Arquilla foreignpolicy - [2013]
  • <그래비티> - 사실주의적 SF 영화의 형식주의적 해석
    배상준 씨네포럼 26 9-48 [2017]
  • <공각기동대>(Ghost in the Shell, 1995)의 현재성과 포스트휴먼 퀴어 연구
    김수연 비교문화연구 40 111-131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