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
한국의 다문화 형성과 종교의 역할' 의 참고문헌
-
해외다문화사회통합연구; 덴마크 사례를 중심으로
-
-
-
한국의 다문화가족 관련법제의 현황과 평가
장선희
민족연구 42 42 83-102
[2010]
-
한국의 다문화 국가 현상과 새로운 정책모형
지종화
지방정부연구 13 2 109-136
[2009]
-
-
-
-
한국 다문화주의의 특징과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
-
-
한국 다문화정책의 특성과 발전방향: 다문화정책 모형이론을 중심으로
-
킴리카(Kymlicka)의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: 좋은 삶, 자율성, 그리고 문화
설한
한국정치학회보 44 1 59-84
[2010]
-
-
-
유럽의 이슬람 정책 강경해질까?
정민숙
뉴스위크 한글판 16 8 -
[2005]
-
우리나라 다문화정책의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연구
-
-
외국인 집단거주지역에서 로컬한 공공성 재구축의 의미, 다문화사회 일본과 정체성 정치
-
영국과 프랑스에서 정치와 종교: 루시디 사건과 헤드스카프 논쟁을 중심으로
김남국
국제정치논총 44 4 341-362
[2004]
-
-
-
사회적 합의형성에 관한 이론적 소고:분석틀과 정책적 함의
서문기
행정논총 45 4 1-22
[2007]
-
-
-
-
민족의 개념에 관한 정치사회학적 고찰
조홍식
한국정치학회보 39 3 129-146
[2005]
-
미국, 캐나다, 호주의 다문화주의 비교연구
김정규
사회이론 37 159-200
[2010]
-
-
-
다문화주의 정책유형 결정요인 분석 :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
-
다문화주의 담론과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정책 방향
-
-
다문화정책의 주요 쟁점과 입법과제
김혜순
국회도서관보 46 10 364 -
[2009]
-
-
-
-
다문화시대를 대비한 복지정책방안 연구 -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
-
다문화사회와 헌법
김선택
헌법학연구 16 2 1-41
[2010]
-
다문화사회와 종교
신광철
종교연구 59 59 1-16
[2010]
-
-
-
다문화사회를 위한 입법적 대응방안
조규범
현대사회와 다문화 1 1 -
[2011]
-
다문화사회를 위한 입법론적 소고
조규범
미국헌법연구 21 1 345-390
[2010]
-
-
다문화교육정책 추진 현황, 과제 및 성과 분석 연구
-
-
-
-
-
다문화가정 지원 법제의 현황과 과제
조상균
민주주의와 인권 8 1 147-174
[2008]
-
다문화가정 도래에 따른 혼혈인 및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법제 지원방안의 연구
-
-
-
다문화 사회 대응정책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
유용식
사회복지정책 36 2 447-470
[2009]
-
기초생활보장과 공공복지 - 미국, 영국 그리고 한국의 정책비교와 이슈
-
-
국민 민족 인종 : 결혼이민자 자녀의 정체성, In 동북“다문화”시대: 한국사회의 변화와 통합
-
-
-
-
-
-
-
-
-
-
-
“Alive and Kicking?” Multiculturalism in Flanders
Dirk Jacobs
International Journal on Multicultural Societies 5 2 -
[2004]
-
Multiculturalism and Immigration: A Comparison of the United States, Germany, and Great Britain
-
-
Membership of the 112th Congress: A Profile
-
Immigration and the American Century
-
Disjuncture and Difference in the Global CulturalEconomy, In Modernity at Large: Cultural Dimensions of Globalization
-
Annual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: The Real numbers
-
2005년 프랑스 ‘소요 사태’와 무슬림 이민자 통합문제
박단
프랑스사 연구 14 225-261
[2006]
'
한국의 다문화 형성과 종교의 역할'
의 유사주제(
) 논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