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방기 장덕조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의 위장과 전유-잡지게재소설을중심으로

차희정 2012년
논문상세정보

' 해방기 장덕조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의 위장과 전유-잡지게재소설을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해방직후 소설에 나타난 선택적 행위, In 해방공간의 문학연구
    조남현 - [1990]
  •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2: 1948~1950 민주주의.민족주의 그리고 반공주의
    서중석 270-280 [1996]
  •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Ⅱ: 기원과 원인
    박명림 670-690 [1996]
  • 한국사회과학에서의 탈식민의 과제
    김동춘 9-17 [2000]
  • 한국 민족주의의 두 얼굴
    이정우 시대와 철학 17 1 209-243 [2006]
  • 출판, 국가, 이데올로기
    이용준 110-139 [1993]
  • 장덕조 소설 연구
    趙莉 [2007]
  • 역사적 파시즘-제국의 판타지와 젠더 정치
    권명아 259-290 [2006]
  • 여성성과 국가주의의 결합으로서의 친일문학
    김재용 실천문학 봄 229-230 [2004]
  • 여성 작가 소설에서 본 內鮮一體 裝置 ―최정희 「幻の兵士」와 장덕조 「行路」를 중심으로―
    장미경 日本語敎育 51 183-195 [2010]
  • 소설사회학을 위하여
  • 우성흠 25-37 [1947]
  • 문단의 여류와 여류문단
    심진경 상허학보 13 277-316 [2004]
  • 모성의 담론과 현실 : 어머니의 성, 삶, 정체성
    윤정로 - [1999]
  • 동원'되는 여성작가:한국전과 베트남전의 경우
    박정애 여성문학연구 10 69-87 [2003]
  • 다시 읽는 韓國 神話
    손종흠 - [2004]
  • 내셔널리즘과 젠더
    우에노 치즈코 1-205 [2000]
  • 내가 본 共産主義, In 赤禍三朔 九人集
    장덕조 193-240 [1972]
  • 韓國 女性 그들은 누구인가
    김열규 - [2003]
  • 蒼空
    장덕조 文化 1 2 5-22 [1947]
  • 猪突
    장덕조 新天地 4 8 274-279 [1949]
  • 日帝 末期 女性作家들의 親日談論 연구
    김양선 어문연구(語文硏究) 33 3 257-278 [2005]
  • 喊聲
    장덕조 白民 3 4 69-89 [1947]
  • 三十年
    장덕조 116-129 [1950]
  • 『전쟁과 사회 』
    김동춘 - [2000]
  • 「평등에 대한 유혹-여성 지식인과 친일의 내적 논리」
    이선옥 실천문학 67 가을 254-269 [2002]
  • 1950년대 지역 신문에 나타난 여성 담론 양상 연구 ― 영남지역 신문소설의 ‘여성주체’ 개념을 중심으로 ―
    한명환 어문연구 47 397-422 [2005]
  • 1950년대 장덕조 신문소설 연구 {대구매일신문}을 중심으로 ―
    남금희 현대소설연구 20 305-324 [2003]
  • 1950년대 장덕조 소설에 나타난 연애와 결혼 ― 『多情도 病이련가』를 중심으로
    최미진 현대문학이론연구 37 139-164 [2009]
  • .식민주의 담론과 여성주체의 구성
    김양선 여성문학연구 3 268-273 [200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