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통과 연대를 위한 국어교육

정재찬 2006년
논문상세정보

' 소통과 연대를 위한 국어교육' 의 참고문헌

  • 홍재성권오룡 역
    - [1994]
  • 행위 성향 중심의 시민 교육
    - [2002]
  • 초등교육의 재개념화
    - [2003]
  • 지리와 문학
    9 - [1999]
  • 일상담론의 이데올로기적 성격과 문학교육
    2 - [1998]
  • 인간 사고의 심리학
    - [1992]
  • 이데올로기와 말 바흐찐의 기호학적 견해를 중심으로
    - [1993]
  • 우리 아이들에게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
    - [2002]
  • 언어와 변혁
    - [1992]
  • 언어 의미의 기능과 사회
    - [1990]
  • 시민교육을 위한 덕목주의의 새 지평 합리성의 형식 관심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사회와 교육 제17집
    - [1993]
  • 소설교육의 방법 연구
    - [1996]
  • 사회적 실천 중심의 사회과교육에 관한 연구
    - [2003]
  • 사회과에서 읽기 기능의 향상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
    - [1999]
  • 사회과 쟁점중심 수업이 비판적 사고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
    - [2003]
  • 사회과 교육과정과 지도법
    - [2000]
  • 사회과 ‘전략적 읽기 교수방법’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
    - [2003]
  • 바흐친의 유물론적 언어이론
    - [1992]
  • 바흐친과 문화 이론
    - [1995]
  • 문화재생산이론과 문학교육
    2 - [1998]
  • 문학을 통한 교육
    - [2005]
  • 문학교육의 사회학을 위하여
    - [2003]
  • 문학교육과 도덕적 상상력
    - [2004]
  • 문식성 교육 담론과 주체 형성에 관한 연구
    - [2005]
  • 디지털 리터러시의 국어교육적 고찰
    21집 - [2004]
  • 데리다와 푸코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
    - [1991]
  • 대중정보의 왜곡과 이데올로기
    - [1993]
  • 국어교육의 문화론적 지평
    - [2001]
  • 고은 외 어떻게 읽을 것인가
    - [1994]
  • The Problem of Literary Canon Formation
    - [1993]
  • The Moral Imagination: How Literature and Film can Stimulate Ethical Reflection in the Business World
    - [1997]
  • Reproduction in Education
    - [1977]
  • 21세기 문학교육의 전망
    6 - [200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