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장년 근로자의 가교일자리 전직 현상과 성공 요인: 질적 연구방법론을 통한 탐색적 연구

한태영 2014년
논문상세정보

' 중장년 근로자의 가교일자리 전직 현상과 성공 요인: 질적 연구방법론을 통한 탐색적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(Work Life) 연구
    한 준 145-172 [2010]
  • 질적 연구방법론: 다섯 가지 접근, 2판
  • 직무/직군별 인사제도 운영 방안
    윤동열 48-64 [2013]
  • 중장년층의 취업과 “괜찮은 일자리”
    이성균 한국사회정책 15 2 181-216 [2009]
  • 중장년층의 직업특성과 활동특성이 은퇴준비에 미치는 영향
    신계수 11 296-312 [2011]
  • 중장년 화이트칼라 지속고용의 과제
    태원유 CEO Information 878 - [2012]
  • 중년위기 지각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: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
    황승배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6 4 59-98 [2012]
  • 중년남성의 직장생활과 배우자와의 관계가 성공적인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
    조성숙 노인복지연구 54 211-235 [2011]
  • 중년남성의 재취업에 따른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
    박애경 9 253-275 [2012]
  • 중년기 성인들이 인지하는 주관적 삶의 질의 영향요인 분석: 생태학적 요인들을 고려하여
    임소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 4 129-147 [2011]
  • 중고령자의 취업구조와 고용서비스 정책과제
    권혜자 - [2010]
  • 중고령자의 재취업 결정요인과 일자리 만족도에 관한
    강순희 533-554 [2013]
  •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
    성지미 노동정책연구 6 1 39-74 [2006]
  • 중고령자 가구의 자산불평등 구조분석
    반정호 노동리뷰 4-22 [2008]
  • 중ㆍ장년층 실직자의구직강도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
    한영석 한국심리학회지: 산업 및 조직 19 2 171-191 [2006]
  • 중ㆍ고령자의 재취업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
    김학주 한국노년학 24 2 97-110 [2004]
  • 중·장년층 재취업 결정요인과 재취업 고용의 질에 관한 연구: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
    김미희 한국심리학회지:여성 12 4 537-557 [2007]
  • 정년퇴직 후, 재취업에 성공한 한국 남성노인의 구직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
    김미혜 한국노년학 28 1 123-142 [2008]
  • 장년층 적합직무 개발 및 직무능력 향상
    박우성 90-104 [2013]
  • 장년층 구직자의 구직효능감에 대한 귀인과 강인성의 영향: 정신건강과 재취업 제한요건의 매개효과
    한태영 한국심리학회지: 산업 및 조직 18 3 611-637 [2005]
  • 임금근로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: 준고령자와 고령자 비교를 중심으로
    송진영 - [2013]
  • 인구고령화와 노동시장
    방하남 - [2005]
  • 은퇴가 없는 나라: 국가 경제를 이모작하라
    김태유 - [2013]
  • 연령관리(Age Management) -기업의 장년고용 촉진전략
    황기돈 고용이슈 6 5 6-28 [2013]
  • 연구조사방법의 이해와 적용: 질적연구와 사례연구 방법
    이원욱 - [2011]
  • 아웃플레이스먼트(Outplacement) 연구의 경향 분석 -2000년대 이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-
    권대봉 HRD연구 14 3 1-23 [2012]
  • 세대간 고용대체 가능성 연구
    안주엽 - [2011]
  • 서울시 고령재취업자의 직종선택의 결정요인
    윤형호 한국노년학 27 4 721-737 [2007]
  •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고령자 재취업에미치는 영향
    김종향 임상사회사업연구 8 47-70 [2011]
  •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와 건강 준비의 관련 요인 탐색 : 심리적 요인과 자원 요인을 중심으로
    한경혜 노인복지연구 58 133-162 [2012]
  • 대전시 고령자들의 연령별 일자리 욕구에 관한 연구
    최종암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0 21-47 [2009]
  • 노동력 고령화와 임금체계 혁신
    정진호 3-30 [2011]
  • 경력중기 남성 사무직 베이비부머의 경력개발 학습동기에 관한 연구
    전찬호 HRD연구 13 2 21-43 [2011]
  •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진로유연성 탐색:재취업 성공 기혼여성의 인식을 중심으로
    은혜경 상담학연구 12 2 651-671 [2011]
  • 강요된 선택 :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과 재취업의 동학분석
    방하남 한국사회학 45 1 73-108 [2011]
  • “한국 중 노년기 은퇴 경험자들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”
    백주희 한국노년학 32 1 273-287 [2012]
  • Working in retirement: The antecedents of bridge employment and its consequences for quality of life in retirement
    Kim, S.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3 1195-1210 [2000]
  • Variations in cognitive, perceptual, and psychomotor abilities across the working life span: Examining the effects of race, sex, experience, education, and occupational type
    Avolio, B. J. Psychology and Aging 9 430- [1994]
  • Toward an integrative theory of training motivation: A meta-analytic path analysis of 20 years of research
    Colquitt, J. A.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 678-707 [2000]
  • The relationship of age to ten dimensions of job performance
    Ng, T. W.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 392- [2008]
  • The case study crisis: Some answers
    Yin, R. K.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6 58-65 [1981]
  • The Strength of Weak Ties
    Granovetter, M. S.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360-1380 [1973]
  •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(3rd ed.)
    Stake, R. E. 443-466 [2005]
  • Testing the 'Side-Bet' Theor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: Som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
    Meyer, J. P.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 372-378 [1984]
  • Retirement adjustment: A review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advancements
    Wang, M. American Psychologist 66 204- [2011]
  • Qualitative research designs selection and implementation
    Creswell, J. W.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5 236-264 [2007]
  • Profiling retirees in the retirement transition and adjustment process: examining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retirees’ psychological well-being
    Wang, M.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 455- [2007]
  • Predictive validity of a multidisciplinary model of reemployment success
    Wanberg, C. R.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 1100- [2002]
  • Practical intelligence at work: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cognitive efficiency among managers in a bank environment
    Colonia-Willner, R. Psychology and Aging 13 45- [1998]
  •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: The Big Five Revisited
    Hurtz, G. M.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 869- [2000]
  • People nominated as wise: a comparative study of wisdom-related knowledge
    Baltes, P. B. Psychology and Aging 10 155- [1995]
  • Older workers’ motivation to continue to work: Five meanings of age: A conceptual review
    Kooij, D.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3 364-394 [2008]
  • New directions in goal-setting theory
    Locke, E. A.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5 265-268 [2006]
  • Maintaining Focus, Energy, and Options through the Life Span
    Wang, M. 135-162 [2009]
  • Group Dynamics and Team Interventions
    Franz, T. M. - [2012]
  • Focus groups
    Morgan, D. L. Annual Review of Sociology 22 129-152 [1996]
  • Expertise and age-related changes in components of intelligence
    Masunaga, H. Psychology and Aging 16 293- [2001]
  • Employee retirement: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
    Wang, M. Journal of Management 36 172-206 [2010]
  • Effects of devil’s advocacy and dialectical inquiry on individuals versus groups
    Schwenk, C. R.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9 210-222 [1994]
  • Does jobrelated training performance decline with age?
    Kubeck, J. E. Psychology and Aging 11 1 92- [1996]
  • Antecedents of bridge employment: a longitudinal investigation
    Wang, M.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 818- [2008]
  • Age-related differences in performance on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: a meta-analytic review
    Rhodes, M. G. Psychology and Aging 19 482- [2004]
  • 21st century management: a reference handbook
    Schultz, K. S. - [2007]
  • 2013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및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
    통계청 - [2013]
  • 2008 고령자 통계
    통계청 - [2008]
  • 2007 고령자통계
    통계청 - [200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