뉴 시니어로서의 베이비붐 세대 : 은퇴 후 삶에 대한 지향과 성공적인 적응을 위한 콘텐츠 수요에 관한 연구

논문상세정보

' 뉴 시니어로서의 베이비붐 세대 : 은퇴 후 삶에 대한 지향과 성공적인 적응을 위한 콘텐츠 수요에 관한 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세대의 심리적 정체성: '세대차이' 연구를 위한 심리학적 모델
    황상민 한국심리학회지: 사회및성격 18 2 31-47 [2004]
  • 일본형 복지국가체제 재편과정에서의 ‘가족주의’에 관한 연구 -지자체의 고령자복지정책을 중심으로-
    김지미 사회보장연구 26 2 343-374 [2010]
  • 액티브시니어가 이끄는 실버시장의 변화와 준비
    이승우 - [2010]
  • 사회조사를 통해 본 베이비붐세대의 특징
    통계청 - [2010]
  • 베이비붐세대의 직업만족도와 경제적 은퇴준비 실태 분석
    신계수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5 3 41-50 [2011]
  • 베이비붐세대의 부상, 정책패러다임 변화 필요하다. 이슈 브리핑
    조경욱 이슈 브리핑 35 - [2011]
  •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이 문화활동에 미치는 영향*:문화복지 관점에서
    권현정 한국노년학 28 3 535-553 [2008]
  • 베이비붐세대 남녀 특성 비교 연구
    김영란 - [2010]
  • 베이비붐 세대의 규모, 노동시장 충격, 세대간 이전에 대한 고찰
    김용하 보건사회연구 31 2 36-59 [2011]
  • 베이비붐 세대 은퇴의 파급효과와 대응방안 - 주요국(미・일) 비교 포함
    정호성 - [2010]
  •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근로지속의사 및 근로형태에 관한 연구
    강은나 노인복지연구 55 55 159-182 [2012]
  • 베이비 붐 세대의 고령사회대응 여가문화 미디어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
    두일철 인문콘텐츠 24 177-206 [2012]
  •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에 따른 콘텐츠 소비: 지상파 장르선호도를 중심으로
    윤해진 한국방송학보 24 5 325-369 [2010]
  • 대중매체에서의 신노년 담론 분석:신문매체를 중심으로
    한경혜 한국노년학 27 2 299-322 [2007]
  • 뉴시니어 세대의 3대 키워드
    안신현 SERI 경영노트 96 1-12 [2011]
  • 노인층의 텔레비전 이용행태와 충족에 관한 연구
    정재민 한국언론학보 51 3 172-200 [2007]
  • 노인미디어교육의 목표와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 연구 : 노인미디어교육 교사 및 학습자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
    강진숙 한국언론정보학보 48 4 306-325 [2009]
  • 고령화 사회 대비 효과적 고용정책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토대연구 : 연령대별 인식차이를 바탕으로
    신호창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8 1 5-40 [2010]
  • 고령사회에서의 문화적 삶: 전망과 대응방안,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미래문화수요 예측 및 대응방안
    원영희 - [2007]
  • 平成24年版 犯罪白書-刑務所出所者等の社会復帰支援-
  • Successful aging: A disability perspective
    Minkler, M Journal of Disability Policy Studies 12 4 229-235 [2002]
  • Sense-making methodology: Communicating communicatively with campaign audiences, In Public Communication Campaigns
    Dervin, B. 69-81 [2001]
  • Self, society, and the new gerontology
    Holstein, M. B The Gerontologist 43 6 787-796 [2003]
  • 2011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
    정용찬 - [201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