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술교육과 사회의 만남-사회재건주의 재조명을 통한 한국미술교육 고찰
-
-
저자
김형숙
-
제어번호
104439675
-
학술지명
조형교육
-
권호사항
Vol.
0
No.
36
[
2010
]
-
발행처
한국조형교육학회
-
발행처 URL
http://www.saek.or.kr
-
자료유형
학술저널
-
수록면
149-182
-
언어
Korean
-
출판년도
2010
-
등재정보
KCI등재
-
판매처
'
미술교육과 사회의 만남-사회재건주의 재조명을 통한 한국미술교육 고찰' 의 참고문헌
-
-
-
-
-
-
참여정부의 문화예술교육 정책형성과정 연구: Kingdom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
-
-
-
예술진흥과 문화예술교육, 문화예술교육 4차 포럼: 문화예술교육 평가와 전망
-
세계화 시대의 대안적 교육모델로서의 다문화 교육
차윤경
다문화교육연구 1 1 1-23
[2008]
-
사회취약계층 문화예술교육지원 사업 평가 및 발전 방안 연구
-
문화예술교육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조성방안 연구
-
-
박사
-
-
-
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정책 연구 -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-
김선형
인문콘텐츠 8 8 339-356
[2006]
-
-
문화예술교육의 미술교육적 논의
황연주
미술교육논총 19 1 1-28
[2005]
-
-
문화예술교육 정책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제안
-
-
모더니즘 미학에 대한 저항의 자취: 해롤드 로젠버그의 ‘행동’ 비평
김희영
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26 26 56-71
[2007]
-
-
다문화 미술교육의 확장
손지현
미술과 교육 7 2 21-38
[2006]
-
다문화 미술교육을 위한 사회학과 인류학 방법의 일고찰
박정애
미술과 교육 11 1 167-187
[2010]
-
-
-
curriculum for empowerment, action, and change. In Empowerment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
-
What is discipline-based art education? In Reading in discipline-based art education: A literature of educational reform
-
What can out museum do to help win the war
-
The power of display: A history of exhibition
-
The concept of action in painting
-
The battle over the cann: Cultural diversity and curriculum reform
Banks,A
Allyn and Bacon Educators' Forum 1 11-13
[1989]
-
-
Social reconstruction and community
Hicks,L.E
Studies in Art Education 35 3 149-156
[1994]
-
Reconstruction and the individual
-
Race, class, gender, exceptionality, and education reform, In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
-
Progressivism in education
Mosier,R.D
Peabody Journal of Education 29 5 274-281
[1952]
-
Postmodern Art Education: An approach to curriculum
-
Multicultural education: Characteristics and goals, In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
-
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social reconstruction
Stuhr,P
Studies in Art Education 35 3 171-178
[1994]
-
Multicultural art and visual cultural education
-
John Dewey, art and public life
Mattern,M
The Journal of Politics 61 1 54-75
[1999]
-
How New York stole the idea of modern art: Abstract expressionism, freedom, and the cold war
-
Empowerment through multirultural education
-
-
Art education and changing political agendas: An analysis of curriculum concerns of the 1940s and 1950s
Freedman,K
Studies in Art Education 29 1 17-29
[1987]
-
-
Art and culture: Critical essays
-
An analysis of multicultural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
Sleeter, C.
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4 421-445
[1988]
-
Aims and principles of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Museums of Fine Art. In Bettina Messias Carbonell
-
About the issue: The social reconstruction of art education
Freedman,K
Studies in Art Education: A Journal of Issues and Research 35 3 131-134
[1994]
-
A history of art education: Intellectual and social currents in teaching the visual arts
-
-
. DBAE에 기초한 다문화 미술프로그램 기초연구
이수경
미술교육논총 4 17-34
[1995]
'
미술교육과 사회의 만남-사회재건주의 재조명을 통한 한국미술교육 고찰'
의 유사주제(
) 논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