「엮어 읽기를 통한 시조 학습지도 방안 : 고등학교 수업을 대상으로」

김상진 2010년
논문상세정보

' 「엮어 읽기를 통한 시조 학습지도 방안 : 고등학교 수업을 대상으로」' 의 참고문헌

  • 평시조를 패러디화한 사설시조 연구, in 고전시 다시 읽기
    신은경 143-171 [1997]
  • 통일 이후의 문학교육
    김대행 - [2008]
  • 어부가 엮어 읽기, in 고전시가 엮어 읽기 (하)
    여기현 61-82 [2003]
  • 시조의 상호텍스트성 양상
    김학성 인문과학 33 23-39 [2003]
  • 시조의 교육적 의의 연구 : 중·고등학교 국어·문학 교과서 중심으로
    이선규 [2008]
  • 시조문학 교육의 통시적 연구
    김선배 - [1988]
  • 시조문학 교육론
    김덕현 - [2004]
  • 시조대사전(상·하)
    박을수 - [1992]
  • 시조교육의 효율적 방안에 관한 고찰 -<陶山十二曲>과 <高山九曲歌>를 대상으로-
    김상진 온지논총 24 7-41 [2010]
  • 시 다시읽기
    이어령 - [1995]
  • 새로운 시조 교육을 위한 질문 제시의 기법- 중․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시조를 중심으로 -
    정기철 시조학논총 30 217-250 [2009]
  • 사설시조의 시학연구
    신은경 [1988]
  • 문학교육으로서의 시조
    허왕욱 시조학논총 17 212-231 [2001]
  • 문학교육론(제4판)
    구인환 - [2004]
  • 문학 문화의 지형 변화와 문학교육 - 대중문학 수용의 문제를 중심으로 -
    김미혜 국어교육연구 46 31-60 [2010]
  • 문학 문화의 개념과 문학교육
    김창원 문학교육학 25 513-544 [2008]
  • 국어교과학의 지평
    김대행 - [1995]
  • 국문학의 탐구
    김학성 - [1986]
  • 고전시가 모호성의 교육적 이해
    최홍원 국어교육연구 44 249-280 [2009]
  • 고전시가 교육론의 가치론적 접근-이이(1536~1584)의 <高山九曲歌>를 예로 하여
    한창훈 국어교육학연구 12 417-440 [2001]
  • 고전문학의 시공간적 거리감과 문학사적 교육
    고정희 고전문학과 교육 14 89-120 [2007]
  • 고전문학교육과 표기법 -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고전시가를 중심으로
    박인희 새국어교육 65 55-71 [2003]
  • 고등학교 국어 상․하
  • 박사
  • 時調敎育의 현황과 학습자 활동 중심의 교수·학습 모형
    姜明慧 시조학논총 20 141-172 [2004]
  • 『악장가사』소장 「어부가」의 생성과정과 작품세계
    이형대 고전문학연구 12 38-49 [1997]
  • The Art of Seduction
    Robert Greene - [2002]
  • Culture and High Culture
    Herbert J.Gans - [1998]
  • <청산리 벽계수>와 <텐미니츠>에 나타난 여성이미지, in 16·17세기 시조의 동향과 경향
    김상진 244-271 [2006]
  • <樂章歌詞本 漁父歌> 再考
    박해남 반교어문연구 12 28 123-150 [201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