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의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-한국과학교육학회지와 한국생물교육학회지의 논문을 중심으로

논문상세정보

' 국내의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-한국과학교육학회지와 한국생물교육학회지의 논문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현행 고등학교 생물교과서 Ⅰ·Ⅱ 의 유전에 대한 내용분석
    1-13 [1985]
  • 한국의 과학교육 연구 내용분석
    139-145 [1985]
  • 한국의 과학교육 관련 학회들의 연구내용 분석
    15-20 [1987]
  • 초등학생의 학년별 생물분류 개념형성에 대한 연구
    32 1 16-26 [2004]
  •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광합성에 대한 오개념 유형에 관한 연구
    27 2 161-167 [1999]
  • 초, 중,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광합성 실험 주제와 방법의 분석
    29 3 251-259 [2001]
  • 초, 중, 고등학교 6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광합성 실험 재료 및 탐구 활동에 관한 분석
    29 3 260-271 [2001]
  • 중학교 과학에서 사람의 유전에 관한 탐구 지향형 실험 모듈의 개발
    34 2 218-231 [2006]
  •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등 과학 교과서의 광합성 영역에 대한 용어와 탐구의 연계성 분석
    33 2 196-208 [2005]
  •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해
    31 1 42-48 [2003]
  • 유전 개념의 이해를 위한 염색체 모형 이용 수업의 효과
    30 3 282-288 [2002]
  • 염색체, 유전자, 유전정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연구
    30 4 316-324 [2002]
  • 식물의 생활사와 생식방법에 대한 오개념
    30 3 265-273 [2002]
  • 식물명 제시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들의 식물 인식에 미치는 효과
    28 4 356-362 [2000]
  •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
    - [1994]
  • 생물 계통수 생성의 사고 과정 모형 개발
    33 1 13-22 [2005]
  • 동기 전략을 적용한 마인드 툴로서의 하이퍼미디어 개발: 고등학교 생물 1 "사람의 유전병"을 중심으로
    33 4 443-455 [2005]
  • 남북한 생물교과서에 나오는 동물과 식물의 종류와 종수에 대한 비교 연구
    29 2 148-154 [2001]
  •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실험을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형 코스웨어의 개발
    32 4 334-347 [2004]
  •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실험을 위한 시뮬레이션형 코스웨어의 적용
    34 1 1-6 [2006]
  • 광합성 연구의 과학사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
    30 2 126-135 [2002]
  • 과학교육 연구 자료의 정보 전산화 체제 -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과의 학위 논문 분석
    143-159 [1991]
  • 과학교육 연구
    - [1998]
  • 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고등학교 생물 분류 단원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
    33 4 505-516 [2005]
  • 과학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DNA 재조합 기술 적용의 탐색
    32 4 370-380 [2004]
  • 고등학생의 인지특성 및 과학창의력에 따른 탐구중심의 유전관련 교수-학습 모듈 수업의 효과
    29 3 220-229 [2001]
  • Young people's images of science
    - [1996]
  • Trends i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
    27 2 215-221 [1997]
  • Toward a social-contexts frame of reference for science education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
    609-618 [1991]
  • Time for action: Science for an alternative future
    25 6 645-670 [2003]
  • The revolution in research on science teaching
    - [2001]
  • The gap between teachers and researchers Psychological research in the classroom Issues for educators and researchers
    - [1982]
  • The domain of science education
    139-142 [1985]
  • Science education : Major themes in education
    - [2006]
  •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in Europe : Current issues and themes
    - [1996]
  • Research and trends in science education from 1998 to 2002: A content analysis of publication in selected journals
    21 1 3-14 [2005]
  • Renegotiating the culture of school science
    - [2000]
  • Rapid-Cycling Brassica rapa를 이용한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광합성 실험 모듈의 개발
    30 4 289-300 [2002]
  • Productivity of educational psychologists in educational psychology journals, 1991-1996
    23 173-181 [1998]
  •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
    42 1 112-138 [2005]
  • NARST 2006 final program
    - [2006]
  •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
    - [1998]
  • Improving the interpretation and reporting of quantitative research
    35 3 237-248 [1998]
  • How to Research
    - [1996]
  •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to scientific literacy
    87 224-240 [2003]
  •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
    - [1994]
  •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
    - [1992]
  • Handbook of research design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
    - [2000]
  • From things to processes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for learning science concepts
    27-43 [1994]
  • Conceptual change: A powerful framework for improving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
    25 6 671-688 [2003]
  • A history of ideas in science education Implications for practice
    - [1991]
  • 21세기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학교 외 교육기관의 전시 - 교육 시스템 구축 및 관람객의 행동 연구: 자연사 박물관을 중심으로
    2004-075 - [200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