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한국경제 전환의 인식과 대안: 진보적 자유주의와 신개발주의를 중심 으로”

이병천 2013년
논문상세정보

' “한국경제 전환의 인식과 대안: 진보적 자유주의와 신개발주의를 중심 으로”' 의 참고문헌

  • 혁신과 통합의 한국경제를 찾아서
    유철규 - [2008]
  • 한국자본주의체제의 진화와 사회갈등, In 갈등과 제도
    조혜경 - [2012]
  • 한국자본주의 발전모델의 형성과 해체
    김진업 - [2001]
  • 한국자본주의 발전모델의 역사와 위기
    유철규 - [2003]
  • 한국의 진보를 비판한다
    김기원 - [2012]
  • 한국사회 삼성을 묻는다
    조돈문 - [2008]
  • 한국경제와 노동체제의 변화
    조성재 - [2008]
  • 한국경제론의 충돌
    이병천 - [2012]
  • 한국경제, 재생의 길은 있는가
    조원희 - [2001]
  • 한국경제 제3의 길, In 진보의 길
    김형기 - [2009]
  • 한국경제 새판짜기
    김상조 - [2007]
  • 한국경제 새판짜기
    유종일 - [2007]
  • 한국경제 20년의 재조명-1987년 체제와 외환위기를 중심으로
    홍순영 - [2006]
  • 한국 진보진영의 대안적 경제발전 전략 검토
    신정완 시민과 세계 15 - [2009]
  • 한국 민주화와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동학
    조희연 - [2009]
  • 쾌도난마 한국경제
    장하준 - [2005]
  • 추격형 혁신시스템을 진단한다
    정재용 - [2013]
  • 주식회사 한국의 구조조정
    장하준 - [2004]
  • 종횡무진 한국경제
    김상조 - [2012]
  • 조절 이론의 진화와 전망: 역사적 분석에서 다양성론으로의 이동을 중심으로
    이병천 사회경제평론 42 139-176 [2013]
  • 제3의 길과 한국의 중도진보, In 새로운 진보의길
    김호기 - [2009]
  • 정글자본주의에서 참여자본주의로, In 대한민국 복지국가의 길을 묻다
    이병천 - [2012]
  • 재벌문제의 현실과 인식, In 모델과 신자유주의사이에서
    김상조 - [2004]
  • 재벌과 금융-그 진정한 개혁을 위하여
    김상조 - [2000]
  • 재벌개혁은 끝났는가
    김기원 - [2002]
  • 자유화, 양극화 시대와 무책임 자본주의: 사회통합적 시민경제의 대안
    이병천 아세아연구 48 3 43-71 [2005]
  • 자유주의는 진보적일 수 있는가
    유종일 - [2011]
  • 자유주의는 진보적일 수 있는가
    최태욱 - [2011]
  • 자유주의는 진보적일 수 있는가
    홍종학 - [2011]
  • 유종일의 진보경제학
    유종일 - [2012]
  • 위기 이후 한국자본주의
    전창환 - [2004]
  • 위기 그리고 대전환
    이병천 - [1998]
  • 외환위기의 뿌리, In 박정희의 맨얼굴
    김상조 - [2011]
  • 왜 일본은 ‘성공’하였는 가
    Morishima M. - [2000]
  • 신자유주의의 위기와 한국의 경제민주화
    김병권 시민과 세계 22 - [2013]
  • 신자유주의, In 경제학의 쟁점들
    유철규 - [2002]
  • 신자유주의 대안론
    전병유 - [2009]
  • 시장인간의 형성: 생활세계의 식민화와 저항
    최현 동향과 전망 81 81 157-195 [2011]
  • 시민문화와 발전주의의 망탈리테, In 시장
    강명구 - [2007]
  • 세계화 시대 한국 자본주의
    이병천 - [2007]
  • 세계화 시대 한국 자본주의
    장시복 - [2007]
  • 생명관리정치의 탄생
    Foucault M - [2012]
  • 상생의 경제학
    김선빈 - [2009]
  • 삼성과 한국민주주의, In 삼성을 묻는다
    이병천 - [2008]
  • 박정희의 맨 얼굴: 8인의 학자, 박정희 경제신화 화장을 지우다
    이정우 - [2011]
  • 박정희 모델과 신자유주의 사이에서
    유철규 - [2004]
  •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, 2월
  • 박근혜 정부 국정 비전 및 국정 목표, 2월
  •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
    최장집 - [2002]
  • 민주적 시장경제의 한국 모형을 찾아서
    홍종학 경제와 사회 86 69-94 [2010]
  • 민주당 경제 민생정책의 비전과 과제-경제정책 노선과 비전의 재정립
    홍장표 - [2013]
  • 미래 한국의 경제사회정책 패러다임 연구.
    옥우석 - [2009]
  • 미국식 자본주의와 사회민주적 대안
    전창환 - [2001]
  •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
    장하준 - [2012]
  • 리셋코리아
    정태인 - [2013]
  • 노무현 시대를 넘어-새로운 진보의 제도 구상, In 노무현 시대의 좌절
    이일영 - [2008]
  • 김영삼 정부의 개혁실패와 경제위기, In위기 그리고대전환
    김상조 - [1998]
  • 기업집단개혁과 경제민주화, In 사회경제민주주의의 경제학
    송원근 - [2013]
  • 금융세계화와 한국경제의 진로
    조영철 - [2007]
  • 금융 헤게모니로서의 신자유주의 분석 : 역사·동학·행위자
    장진호 경제와 사회 80 315-342 [2008]
  • 고도성장의 종식과 새로운 성장모형의 모색: 재벌 중심의 성장 신화 극복으 중심으로
    김상조 경제와 사회 69 40-70 [2006]
  • 경제위기 이후 한국의 재벌-금융개혁의 현황과 과제
    김상조 아세아연구 48 3 7-42 [2005]
  • 경제성장 신화의 허와 실, In 박정희의 맨얼굴
    유종일 - [2011]
  • 경제민주화의 의미와 과제: 재벌·중소기업·소상공인 문제를 중심으로
    김상조 경제와 사회 96 112-140 [2012]
  • 경제민주화 공약과 박근혜 정부: 중간평가와 대안적 과제
    유철규 동향과 전망 89 71-106 [2013]
  • 경제119
    유종일 - [2011]
  • 개발주의를 비판한다
    홍성태 - [2006]
  • “한국경제 ‘97년 체제’의 특성에 대하여: 상장 제조업에서 수익추구와 주주 가치 성향의 분석”
    이병천 동향과 전망 86 78-133 [2012]
  • The Strange Non-death of Neoliberalism
    Crouch C. - [2011]
  • The Role of Government in East Asian Economic Development-Comparative Institutional Analysis
    Aoki M - [1997]
  • Neo-liberalisme(s)
    Audier S - [2012]
  • Governance,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since the 1960s, In Growth Divergences
    Kahn M. H. - [2007]
  • 98~99 구조조정의 정치경제학, In 정치경제학과 21세기 한국경제
    유철규 - [2000]
  • 87년체제인가 97년체제인가-민주화시대에서 세계화시대로, In 87년 체제론
    김호기 - [2009]
  • 87년 체제와 민주주의의 위기 : 김정훈. 『87년 체제를 넘어서』(한울, 2010)
    윤상우 경제와 사회 89 89 399-407 [2011]
  • 87년 체제를 넘어서
    김정훈 - [2010]
  • 87년 체제론에 부쳐, In 87년 체제론
    김종엽 - [2009]
  • 80년대 후반 이후 경제구조 변화의 의미, In 87년 체제론
    유철규 - [2009]
  • 1987년 이후 한국에서의 민주화와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정치사회적동학
    조희연 - [2009]
  • 1980년대 발전국가의 재편, 구조조정, 그리고 금융자유화, In 박정희 모델과 신자유주의 사이에서
    전창환 - [2004]
  • (대안 교과서) 한국 근·현대사
    김재호 -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