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제주의 소규모학교 통폐합 논쟁과 공공성의 재구성”

논문상세정보

' “제주의 소규모학교 통폐합 논쟁과 공공성의 재구성”' 의 참고문헌

  • 현대성의 전환과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재구성 -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논리와 미시공공성의 구조-
    조대엽 한국사회 13 1 3-61 [2012]
  • 한국의 농어촌 학교 정책 연구
    임연기 - [2005]
  • 학교・학급의 적정규모
    공은배 - [1984]
  • 학교・학급규모 적정화 재정대책
    백성준 - [1996]
  • 학교회계재정분석보고서
  • 초・중・고등학교 규모의 변화와 정책과제
    김신복 - [1996]
  • 초・중등학교 교육여건 개선을 위한 적정규모 학교 육성계획
  • 지구화 시대의 정의
    김원식 - [2010]
  • 제주도 지역개발정책과 주민 운동의 전망」, 전환기 제주도 지역개발정책의 성찰과 방향
    조성윤 - [2003]
  • 제주 모슬포 지역 군사기지 반대 운동의 전개 과정과 성격
    조성윤 사회발전연구 16 - [2000]
  • 저출산 시대 제주특별자치도 소규모 초등학교 학생수용 정책 모색
    현봉추 [2008]
  • 소규모학교의 통・폐합 관련 요인 분석
    박선하 지방교육경영 2 - [1997]
  • 소규모학교 통폐합의 효과·비용 분석과 대안 모색 : 전라북도 농산어촌 초등학교 중심으로
    이승일 [2007]
  • 소규모학교 통폐합 효과분석에 의한 농산어촌 학교 발전 방안 연구 : 경상북도교육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
    김인숙 [2012]
  • 소규모 학교 통폐합의 부당성-문제제기와 논의
    이정선 비교교육연구 10 1 - [2000]
  • 새로운 시대의 공공성 연구
    소영진 - [2008]
  • 사회적 공통자본
    이병천 - [2008]
  • 민주적 공공성
  • 떠나는 농촌에서 돌아오는 농어촌으로(과소규모 학교 통폐합 추진 방향)
    우형식 교육마당 21 - [1999]
  • 대안적 공공공간과 민주적 공공성의 모색-지역적 공공성과 생활정치의 가능성을 중심으로-
    이상봉 대한정치학회보 19 1 23-45 [2011]
  • 농촌지역사회발전을 위한 학교 재조직화에 관한 연구
    이재우 연구논총 10 - [2001]
  • 농촌지역 소규모 통폐합학교 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: 전라북도교육청 소재 통폐합학교(초등학교)를 대상으로
    박종탁 [2011]
  • 농촌사회의 변화와 소규모학교 문제
    김성수 한국농업교육학회지 26 3 - [1994]
  • 농촌 초등학교의 소규모화에 따른 교육주체들의 학교 유지 발전 사례 연구
    나영성 [2003]
  • 농어촌 지역 소규모 학교 통폐합에 관한 연구
    유경진 [2010]
  • 농어촌 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통폐합에 관한 연구
    최성륜 [2007]
  • 농어촌 소규모학교의 현주소와 진단
    조준래 교육개발 - [1994]
  • 농어촌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채 연구:전북지역을 중심으로
    남궁윤 미래교육연구 13 5 - [2006]
  • 농어촌 교육 활성화를 위한 단기 과제 및 특별법 제정 방안 연구
    조영옥 - [2004]
  • 농산어촌 소규모학교 통폐합 실태 분석
    최준렬 - [2008]
  • 농산어촌 소규모학교 정책 분석
    최준렬 지방교육경영 13 - [2008]
  •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과 적정 규모 학교 육성 계획
  •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 효과 분석
    이혜영 - [2010]
  •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 통폐합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
    최준렬 - [2007]
  • 남한산초 폐교의 위기에서 살아난 공교육의 모델로,작은학교 희망 만들기
    황영동 - [2012]
  • 나 홀로 볼링
    정승현 - [2009]
  • 교육거버넌스 관점에서 본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 분석
    이인회 탐라문화 42 347-375 [2013]
  • 공동자원 개념과 제주의 공동목장: 공동자원으로서의 특징
    최현 경제와 사회 98 12-39 [2013]
  • 공공성의 재구성과 시민사회의 공공성: 공공성의 범주화와 공공성 프로젝트의 전망
    조대엽 한국사회학연구 1 - [2009]
  • 공공성의 유형화.
    임의영 한국행정학보 44 2 1-21 [2010]
  • 공공성의 사회적 구성과 정치과정의 동학:공론장,의사소통,토의정치
    홍성태 - [2012]
  • 공공성과 로컬리티의 재구성- 공적영역으로서 주민도서관을 중심으로 -
    하용삼 철학논총 66 4 421-451 [2011]
  • 경제와 사회1
    베버,막스 - [1997]
  • 忠淸北道 小規模國民學校 運營의 效率化 方案에 관한 연구
    李相起 [1992]
  • ‘시장 실용주의’와 공공성의 위기
    조대엽 환경과 생명 55 - [2008]
  • 2013주요업무계획
  • 2012~2016적정규모학교 육성 계획
  • 2012년도 지방교육재정 분석 보고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