「이상 소설의 반어적 서술자 연구-<날개>를 중심으로」

박유희 2004년
논문상세정보

' 「이상 소설의 반어적 서술자 연구-<날개>를 중심으로」' 의 참고문헌

  • 李箱의 理想과 異常
    - [1973]
  • 현대의 언어적 구제와 이상문학
    - [1972]
  • 한국적 모더니즘의 계보를 위한 연구
    - [1966]
  • 한국근대소설의 문체론적 연구
    - [1985]
  • 한국근대소설구조연구
    - [1990]
  • 한국 모더니즘문학 연구
    - [1988]
  • 한국 근대소설의 시간구조에 관한 연구
    - [1984]
  • 폐쇄된 사회와 고립된 자아
    - [1985]
  • 자의식의 표백과 반어적 의미
    265- [1979]
  • 자아의 진실과 허위
    330- [1974]
  • 자아와 시간의식에 관한 試攷-김소월과 이상의 대비
    107- [1975]
  • 이상초기작품의 정신분석
    - [1977]
  • 이상의 죽음-레몬이 있는 종생극
    137- [1981]
  • 이상의 시사적 위치
    - [1963]
  • 이상의 소설과 기교
    - [1959]
  • 이상의 소설과 공간성
    - [1984]
  • 이상의 소설 공간 연구
    - [1993]
  • 이상의 문체
    - [1982]
  • 이상의 문자 경험 연구
    - [1997]
  • 이상의 <날개>-<날개>의 패턴 분석
    - [1981]
  • 이상문학 60년
    - [1998]
  • 이상과 박태원의 자의식
    138-167 [1996]
  • 이상 소설 연구
    - [1999]
  • 이상 문학의 출발점
    282-288 [1975]
  • 이상 문학의 초의식심리학
    7-9 [1973]
  • 이상 문학의 시간의식
    449-474 [2000]
  • 요절한 두 작가의 작품
    - [1937]
  • 어둠에의 認識
    316- [1974]
  • 시인의 역설
    3-6 [1957]
  • 쉬르레알리즘에 비춰본 箱의 작품세계
    275- [1973]
  • 소설에 있어서의 시간-<날개>의 시간구조
    257- [1980]
  • 소설미학의 새로운 전개
    326- [1972]
  • 부정의 미학
    337- [1974]
  • 부정의 모험 부정의 문학
    162- [1972]
  • 부정과 생성 한국작가와 지성
    100- [1978]
  • 반어의 의미 한국문학이론의 연구
    178- [1986]
  • 무의미의 의미
    325- [1974]
  • 나르시스의 학살
    - [1956]
  • 나르시스의 학살
    - [1957]
  • 絶望은 技巧를 낳고
    - [1968]
  • 故 李箱의 藝術 文學과 知性
    113- [1938]
  • Heretic과 Doctrine
    - [1962]
  • Dadaism과 이상문학
    - [1968]
  • <날개>의 詩學的 再批評
    37- [1938]
  • <날개>와 <川邊風景>에 關하야-리아리즘의 擴大와 深化 文學과 知性
    98- [1938]
  • 1950년대 소설과 반어의 수사학
    - [2003]
  • 1930년대 후반 소설의 미적 근대성 연구
    - [1997]
  •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소설에 나타난 언술 주체의 분열 양태 연구
    - [1998]
  •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소설 연구
    - [1990]
  • 1930년대 장편소설의 시간공간구조 연구
    241-252 [199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