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후칠자 수용과 진한고문파 성립에 대한 비판적 고찰

장유승 2013년
논문상세정보

' 전후칠자 수용과 진한고문파 성립에 대한 비판적 고찰' 의 참고문헌

  • 金昌協의 비판을 통해 본 王世貞 散文의 진면목 - 商販 碑誌文을 중심으로
    박경남 한국한문학연구 46 163-213 [2010]
  • 월정 윤근수 산문의 성격
    김우정 한문학논집 19 - [2001]
  • 우리한문학과 일상문화
    임유경 - [2007]
  • 선조ㆍ광해 연간 文風의 변화와 그 의미: 前後七子 수용 논의의 반성적 고찰을 겸하여
    김우정 한국한문학연구 39 187-222 [2007]
  • 간이 최립 산문 연구
    김우정 [2005]
  • 茅坤과 王世貞의 교유와 그 공통적 지향점-申最의 『皇明二大家文抄』를 통해 본 茅坤과 王世貞-
    박경남 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 31 9-47 [2010]
  • 秦漢古文派의 성립 배경과 秦漢古文에 대한 인식
    이성민 한국어문학연구 48 - [2007]
  • 朴世采의 漢詩를 통해 본 17세기 山林의 현실 인식
    장유승 韓國漢詩作家硏究 12 - [2007]
  • 明代唐宋派硏究
    黃毅 - [2008]
  • 明代前後七子의 詩論 硏究
    元鍾禮 [1989]
  • 崔? 古文辭의 性格에 관하여
    김우정 한국한문학연구 32 285-315 [2003]
  • 崔岦의 文章之文論과 古文辭
    심경호 진단학보 65 - [1988]
  • 박사
  • 「16세기 말 17세기 초 의고문파의 수용과 진한고문파의 성립」
    강명관 한국한문학연구 18 - [199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