「문화콘텐츠의 핵심 원천으로서의 역사학」

논문상세정보

' 「문화콘텐츠의 핵심 원천으로서의 역사학」' 의 참고문헌

  • 해외 디지털인문학 동향
    김바로 인문콘텐츠 33 229-254 [2014]
  • 한류백서
  • 한국 근현대 영상의 공공재화와 새로운 역사쓰기의 모색 : ‘제국-국민국가’ 서사의 너머보기와 ‘公衆의 역사’ 쓰기, In 영상과 아카이빙 그리고 새로운 역사쓰기
    허은 - [2014]
  • 프랑스 ‘디지털 인문학’의 인문학 맥락과 동향
    김동윤 인문콘텐츠 34 9-27 [2014]
  • 창의성의 사회적 본성과 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
    김기홍 인문학연구 46 4 5-28 [2013]
  • 중국의 문화정책 소고
    이동배 문화콘텐츠연구 2 - [2012]
  • 정보화시대의 역사학: ‘영상역사학’을 제창한다
    김기덕 역사교육 75 - [2000]
  • 전통적인 인문학 관련학과에 있어서 ‘콘텐츠 교과목’의 보완 - 역사학 관련학과의 사례를 중심으로
    김기덕 인문콘텐츠 2 - [2003]
  • 인문학과 지식정보화: 지식정보자원관리법과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을 중심으로
    이남희 인문콘텐츠 창간 - [2003]
  • 인문학과 문화콘텐츠 - <인문콘텐츠학회>의 정체성의 문제 -
    김기덕 인문콘텐츠 32 9-26 [2014]
  • 인문콘텐츠의 사회적 공헌
    유동환 - [2013]
  • 인문정신과 문화 영상다큐멘터리
    조관연 인문콘텐츠 30 9-28 [2013]
  • 영상역사학 : 역사학의 확장과 책무
    김기덕 역사학보 200 99-130 [2008]
  • 역사소비를 위한 역사교육의 프레임 전환
    박순준 역사와경계 68 1-51 [2008]
  • 미국 인문학재단(NEH)의 디지털인문학 육성 사업
    김현 인문콘텐츠 34 29-51 [2014]
  • 디지털인문학 과목개발 연구
    박찬길 - [2005]
  • 디지털시대의 인문학, 무엇을 할 것인가
    조지형 - [2001]
  • 디지털시대 인문학 성과의 산업화 방안 연구
  •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과제
    최희수 소통과 인문학 13 - [2011]
  • 디지털 인문학 -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 구도에 관한 구상 -
    김현 인문콘텐츠 29 9-26 [2013]
  • 대한민국 재건의 시대(1945~1968)
    이하나 - [2013]
  • 국가와 영화
    이하나 - [2013]
  • ‘문화콘텐츠’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
    박상천 한국언어문화 33 183-214 [2007]
  • ‘2014 세계 디지털인문학’ 학술대회 및 한국의 디지털인문학
    홍정욱 인문콘텐츠 34 53-75 [2014]
  • A.S.C 영상자료를 통한 한국전쟁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-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 A.S.C 영상자료의 가치와 내용 검토-
    노성호 韓國史學史學報 27 101-132 [2013]
  • 2008 문화콘텐츠 교육기관 현황조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