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리교사들의 국가교육과정 참여와 앞으로의 과제

논문상세정보

' 지리교사들의 국가교육과정 참여와 앞으로의 과제' 의 참고문헌

  • 초·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정(시안) 연구 개발
    허경철 - [2005]
  • 초·중등 지리교육과정 개발과정의 평가
    19 1 1-11 [2002]
  • 초·중·고등학교 사회과·국사과 교육과정 기준(1946~1997).
    - [2000]
  • 차기 지리과 교육과정 개정 진행 상황 보고
    1-18 [2006]
  • 지리는 지리책으로 지리교사가 가르치자 -유익한 지리교육을 위하여-
    10 1 87-94 [2002]
  • 지리교육은 사회과 통합에 흔들린다
    151-156 [2003]
  • 지리교육과정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분석
    108-116 [2005]
  • 지리교육과정 실행자(교사)의 인식 분석
    3-14 [2005]
  • 지리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전국 지리교사 이해자료- 왜 지리독립인가?
    1-7 [2005]
  • 지리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의 교사 참여 구조
    75-82 [2005]
  • 지리교육 방법의 이해
    93-101 [2004]
  • 지리교육 내용구성의 이해
    168-211 [2004]
  • 지리 학습에 대한 수요자 인식을 통해 살펴본 중학교 지리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
    77-89 [2001]
  • 중등 지리 교육과정 시안의 개발과정
    61-73 [2005]
  • 제 7차 지리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앞으로의 과제
    5 2 1-28 [1997]
  • 제 7차 10학년 지리교육과정의 비판적 분석 및 차기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
    90-102 [2001]
  • 우리의 텃밭에서 풍성한 수확을
    200-204 [2005]
  •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
    23 3 57-80 [2005]
  • 쉬워져야 할 지리 편수 용어
    3-19 [2002]
  • 사회과교육과정 개정(시안)연구 개발
    - [2005]
  • 사회과(지리) 교육과정의 개정 시안에 대한 토론
    - [2006]
  • 사회과 통합문제-지리 그 자체가 이미 통합이다
    11월 138-142 [2004]
  • 북한의 교육과정
    85-105 [2005]
  • 부천지역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
    11-20 [2006]
  • 다른 나라 사회과 교육과정
    24 88-120 [2003]
  • 국가 교육과정과 사회과 교과체제 구성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
    13 1 29-39 [2005]
  • 교육정책과 교육과정
    53-80 [2004]
  • 교육과정이론
    - [2003]
  • 교육과정의 정치학 -7차 사회과 교육과정 결정의 참여구조
    31 295-317 [2000]
  • 교육과정 탐구주제로서의 교사 전문성 논의에 대한 대안적 관점
    41 2 75-92 [2003]
  • 교육과정 의사 결정 구조에 따른 개발 방식 및 주도 집단
    6 313-330 [1996]
  • 교육과정 상의 지리교육의 한계
    28-51 [2004]
  •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참여자에 관한 주요 쟁점
    8 2 305-325 [1998]
  • 교육과정 개발로서 교사의 역할
    7 2 65-81 [1997]
  • 교사주도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숙의의 성격
    22 4 83-112 [2004]
  • 교과교육학과 교육과정
    85-137 [2004]
  • 광복 이후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 체제의 변천과정에 대한 분석
    23 3 35-55 [2005]
  • 7차 교육과정 지리 선택과목의 내용 구성에 대한 분석
    1-10 [2006]
  • 7차 교육과정 고교 선택과목 운영 사례
    81-114 [200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