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통마을 공동체적 공간의 의미해석-전남 영광군 효동마을을 중심으로

논문상세정보

' 전통마을 공동체적 공간의 의미해석-전남 영광군 효동마을을 중심으로' 의 참고문헌

  • 嶺南地方의 裨補
    - [2000]
  • 한반도 중부지방의 민간신앙
    - [2004]
  • 한국의 살림집 韓國傳統民家의 原形硏究
    - [1986]
  • 한국의 마을제당 제1권 서울경기도편
    - [1995]
  • 한국건축의 구조적 의식에 관한 연구
    - [1982]
  • 한국 고대사찰에 있어서 영지의 상징적 의미와 수경적 가치
    69-96 [1989]
  • 한국 農村社會의 傳統的 커뮤니케이션 마당에 관한 硏究 ‘두레’와 ‘洞祭’를 중심으로
    - [1989]
  • 조선왕조 건축의 조영에 관한 연구
    - [1981]
  • 전통주거의 외부경관 구성 체계에 관하여
    - [1992]
  • 전통마을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: 봉화 해저마을 중심으로
    22 2 505-508 [2002]
  • 전통마을 공동체 신앙의 공간적 해석-전통 문화마을 장흥군 방촌을 사례로-
    37 2 131-142 [2002]
  • 전통마을 공간구성에 작용된 환경설계원칙에 관한 연구
    18 1 20-31 [2000]
  • 전통건축 공간 의미의 무속적 해석에 관한 연구
    - [1991]
  • 울산지역 농촌의 洞祭공간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
    15 11 109-118 [1999]
  • 우물의 상징적 의미와 사회적 기능
    23 313-341 [2002]
  • 영광의 효동마을
    - [2004]
  • 서울지역 마을제사의 연구와 전망
    5 69-92 [2006]
  • 사회와 공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
    - [1993]
  • 무속 공간모형에 의한 남사마을 공간해석에 관한 연구
    27 2 95-107 [1999]
  • 마을신앙으로 보는 우리 문화 이야기
    - [2001]
  • 마을민속 조사연구방법
    - [2007]
  • 도시지역 마을제사 전승사례 연구-서울 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역말도당제를 중심으로-
    18 558-583 [2007]
  • 농민의 역사 두레
    - [2006]
  • 노거수의 문화경관 가치와 조경적 활용: 천연기념물 노거수를 중심으로
    - [2005]
  • 남도의 민속문화
    - [1994]
  • 남도민속의 세계
    - [2005]
  • 남도민속문화론
    - [2002]
  • 공간에서 장소로
    25-29 [1978]
  • 韓國의 마을園林에 關한 硏究
    - [1991]
  • 韓國 傳統都市造景의 場所的 特性에 關한 硏究 을 中心으로
    - [1994]
  • 韓國 保護樹의 象徵的 價値와 保護 對策
    91-104 [1991]
  • 造景에서 生態學과 風水思想의 關聯性
    149-160 [1987]
  • 濟州道 傳統民家 庭苑의 特徵
    17 3 1-15 [1999]
  • 民間信仰이 韓國傳統마을의 造景要素에 미친 影響에 關한 硏究 河回·良洞마을을 中心으로
    - [1981]
  • 方位 槪念과 傳統住居의 의미에 관한 硏究
    10 1 37-49 [1999]
  • 文化景觀的 象徵性의 體系로 본 韓國傳統 마을의 景觀構造
    - [1981]
  • 巫俗儀禮를 通해 본 濟州道 傳統住居의 空間構成 및 意味에 관한 硏究
    73-85 [1991]
  • 崔在律 茅亭이 農村社會經濟에 미친 影響
    1-67 [1966]
  • 家庭信仰構造로 본 傳統住居의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
    13 2 61-72 [1997]
  • 全南地域의 茅亭 建築에 관한 硏究
    69-79 [1994]
  • 『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성공매뉴얼 개발 연구』
    - [2007]
  • ‘미신타파’ 이후의 洞祭와 마을의 정체성-경북 영덕 老勿里의 사례를 중심으로-
    13 1 67-87 [1997]
  • Research Methods in Anthropology: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
    - [2002]
  • Definition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
    111-123 [195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