「퇴계의 미발설과 거경의 수양론」

주광호 2010년
논문상세정보

' 「퇴계의 미발설과 거경의 수양론」' 의 참고문헌

  • 중화논변에서 주자 철학의 ‘격물’설
    전병욱 철학연구 102 309-330 [2007]
  • 주희와 이황의 미발(未發) 이론에 대한 논쟁― 이승환 선생의 미발 개념 비판 ―
    손영식 동양철학 31 1-35 [2009]
  • 주자의 中華新說과 敬의 공부론
    최진덕 철학연구 51 - [2000]
  • 주자(朱子)는 왜 미발체인(未發體認)에 실패하였는가 : ―도남학적 수양론의 특징과 전승과정을 중심으로―
    이승환 철학연구 35 3-41 [2008]
  • 성리학에서 미발의 철학적 문제와 17세기 기호학파의 견해
    이봉규 韓國思想史學 13 - [1997]
  • 退溪의 ‘未發’論
    문석윤 퇴계학보 114 1-44 [2003]
  • 退溪 未發說 釐淸
    이승환 퇴계학보 116 67-106 [2004]
  • 『延平答問』 논의를 통해 본 退溪學의 지평 -동아시아 유학사의 맥락과 연관하여
    이봉규 동방학지 144 169-206 [2008]
  • 「주자 수양론에서 ‘미발 공부’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도덕심리학적 의미 」
    이승환 동양철학 32 317-352 [200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