「13~16세기 호적과 족보의 계보형태와 그 특성」

손병규 2010년
논문상세정보

' 「13~16세기 호적과 족보의 계보형태와 그 특성」' 의 참고문헌

  • 호적: 1606~1923 호구기록으로 본 조선의 문화사
    孫炳圭 - [2007]
  • 조선후기 재정구조와 지방재정운영 ― 재정 중앙집권화와의 관계―
    손병규 조선시대사학보 25 117-144 [2003]
  • 조선후기 국가적인 신분 규정과 그 적용
    손병규 역사와 현실 48 31-51 [2003]
  • 조선후기 가족제도 연구의 현황과 과제. in: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(姜萬吉敎授停年紀念論叢)
    김경란 376-406 [2000]
  • 인구사적 측면에서 본 호적과 족보의 자료적 성격-17~19세기 慶尙道 丹城縣의 戶籍大帳과 陜川李氏家의 族譜
    손병규 대동문화연구 46 79-109 [2004]
  • 高麗時代 戶籍 記載樣式의 성립과 그 사회적 의미
    盧明鎬 震檀學報 79 25-50 [1995]
  • 高麗 八祖戶口式의 성립 시기와 성립 원인
    이종서 한국중세사연구 25 5-29 [2008]
  • 東洋文化硏究所所藏の朝鮮半島族譜資料について
    宮嶋博史 東洋學 7 - [2007]
  • 朴龍雲
    108-141 [1993]
  • 朝鮮時代의 家族制度. in: 韓國家族制度史硏究
    ․崔在錫 - [1983]
  • 晉陽河氏世譜(萬曆本)
    - [2010]
  • 春坡心易. in: 四姓綱目
    姜鳳海 - [2002]
  • 族譜와 譜學. in: 朝鮮社會史硏究: 朝鮮社會의 構造와 性格 및 그 變遷에 關한 硏究
    宋俊浩 - [1987]
  • 固城李氏 『先世外家族譜』와 『八高祖圖』檢討
    成鳳鉉 古文書硏究 24 205-236 [2004]
  • 四姓綱目. in: 春坡心易
    李魯 - [2002]
  • 『한국의 성씨와 족보』
    이수건 58- [2003]
  • 『안동권씨성화보』를 통해서 본 한국 족보의 구조적 특성
    宮嶋博史 대동문화연구 62 201-241 [2008]
  • 『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』 上
    盧明鎬 - [2000]
  • The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: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
  • Korean Adoption and Inheritance; Case Studies in the Creation of a Classic Confucian Society
    Mark A. Peterson Cornell East Asia Series 80 - [199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