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진왜란 이후 새로운 능제(陵制)의 도입과 그 영향

' 임진왜란 이후 새로운 능제(陵制)의 도입과 그 영향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japaneseinvasionoftheyearimjin
  • joseonroyaltombs
  • kingseonjo
  • meoyneung
  • queeninmok
  • queenuiin
  • setofthree-tombs-placementsharingthesamet-shapedhall
  • yeongneung
  • 동원삼이강릉
  • 명릉
  • 목릉
  • 선조
  • 영릉
  • 의인왕후
  • 인목왕후
  • 임진왜란
  • 조선왕릉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562 0

0.0%

' 임진왜란 이후 새로운 능제(陵制)의 도입과 그 영향' 의 참고문헌

  • 조선왕실의 궁릉 의물
    장경희 민속원 [2013]
  • 조선왕릉의 神路․御路 형식에 관한 연구 - 非定型 신로․어로를 중심으로 -
    김규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 (1) : 38 ~ 49 [2011]
  •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(Ⅳ)
  •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(Ⅲ)
  •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(Ⅰ)
  • 조선왕릉 제도사
    정해득 신구문화사 [2013]
  • 조선 전기 遷陵의 과정과 정치적 성격
    신재훈 조선시대사학보 (58) : 35 ~ 64 [2011]
  • 조선 왕릉 석실 및 능상구조의 변천에 관한 연구
    김상엽 명지대학교 [2007]
  • 조선 숙종대 왕실 상장례 설행공간의 건축특성 : 빈전·산릉·혼전을 대상으로
    신지혜 경기대학교 [2011]
  • 세종실록의 후릉(厚陵) 산릉제도 기록에 대한 고찰
    김이순 정신문화연구 36 (1) : 92 ~ 116 [2013]
  • 선조대 유릉 택지에서 드러나는 왕릉 조영의 변화와 원인 -裕陵 擇地 풍수담론을 중심으로-
    이덕형 지방사와 지방문화 13 (2) : 171 ~ 200 [2010]
  • 穆陵遷陵都監儀軌
    서울대규장각한국학연구원(奎 13515) [1630]
  • 穆陵遷葬時山陵都監儀軌
    서울대규장각한국학연구원(奎 15070) [1630]
  • 穆陵修改都監儀軌
    서울대규장각한국학연구원(奎 13514) [1609]
  • 朝鮮後期 宮園制의 성립과 변천
    정경희 서울학연구 (23) : 157 ~ 193 [2004]
  • 昌陵의 왕과 왕후 능의 위치 再考
    김이순 미술사학연구 267 (267) : 49 ~ 76 [2010]
  • 懿仁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
    서울대규장각한국학연구원(奎 14826) [1601]
  • 懿仁王后山陵都監儀軌
    서울대규장각한국학연구원(奎 14845) [1601]
  • 宣靖陵의 歷史와 管理制度
    신명호 역사와 실학 (31) : 4 ~ 4 [2006]
  • 太祖代貞陵건설의 정치사적 의미
    윤정 서울학연구 (37) : 155 ~ 191 [2009]
  • 17, 8세기 서울 주변 왕릉의 축조, 관리 및 천릉 논의
    이희중 서울학연구 (17) [200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