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어 문장 수준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적용 가능성 탐색

' 한국어 문장 수준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적용 가능성 탐색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교육학
  • automated scoring
  • constructedresponseitems
  • korealanguageautomatedscoring
  • largescaleassessment
  •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(naea)
  • 대규모 평가
  • 서답형 문항
  • 자동채점
  • 학업성취도 평가
  • 한국어 자동채점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4,467 1

0.0%

' 한국어 문장 수준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적용 가능성 탐색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어 파싱에 대한 고찰
    나동렬 한국정보과학회지 12 (8) : 33 ~ 46 [1994]
  • 한국어 구문분석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구문제약규칙의 학습
    박소영 정보과학회논문지 : 소프트웨어 및 응용 29 (10) : 755 ~ 765 [2002]
  • 학업성취도평가 서답형 문항 컴퓨터 채점화 방안 탐색
    성태제 [2010]
  •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교육내용․방법․평가체제 혁신 방안 VIP 보고
    교육과학기술부 대통령 주재 제3차 교육개혁 대책회의 [2010]
  • 창의․인성교육 강화를 위한 「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」 발표 -고교 석차 9등급제 평가를 성취평가제로 전환-
   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(2011년 12월 14일) [2011]
  • 의미커널과 한글 워드넷에 기반한 지능형 채점 시스템
    조우진 한림대학교 대학원 [2006]
  • 영어 쓰기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(Ⅲ)
    박태준 [2014]
  • 언어특성에 기반한 한국어의 확률적 구문 분석
    이공주 韓國科學技術院 [1998]
  •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프로그램 도입 방안 연구(Ⅲ)
    진경애 [2008]
  •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프로그램 도입 방안 연구(Ⅱ) - 영작문 채점을 중심으로
    진경애 [2007]
  •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프로그램 도입 방안 연구(Ⅰ)
    진경애 [2006]
  • 벡터유사도와 시소러스를 이용한 주관식 답안의 채점방법
    정동경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2]
  • 문장 수준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 현황 및 채점결과 분석
    노은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른 학교교육의 진단과 과제 [2014]
  • 대규모 평가를 위한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프로그램 정교화 및 시범 적용
    노은희 [2013]
  • 대규모 평가를 위한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방안 연구
    노은희 [2012]
  •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쓰기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(Ⅱ)
    시기자 [2013]
  •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쓰기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
    시기자 [2012]
  • X-바 이론의 중심어 개념을 도입한 형태소 단위의 한국어 자질기반 문법.
    박소영 정보과학회논문지(B) 26 (10) : 1247 ~ 1259 [1999]
  •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
    Landis, J. R. Biometrics 33 (1) : 159 ~ 174 [1977]
  • R&D Connections-Constructed-responces test questions: Why we use them: how we score them
    Livingston, S. A. Educational Testing Service [2009]
  • Leveraging C-Rater’s Automated Scoring Capability for Providing Instructional Feedback for Short Constructed Responses
    Bolge, E. Sukkarieh, J. Intelligent Tutoring System.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: 779 ~ 783 [2008]
  • A comparison of human and computer marking of short free-text student responses
    Butcher, P. G. Computers & Education 55 : 489 ~ 499 [2010]
  • 2011 창의․인성 교육 기본 계획
   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(2011년 3월 11일) [201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