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구동향 분석
홈
알림
이용안내
오류접수
API
서비스소개
인기 연구 키워드 :
인기 활용 키워드 :
교과 특수 역량에 기반한 성취기준 개발의 방향 탐색
백남진 ( Nam Jin Paik )
2014년
활용도 Analysis
논문 Analysis
연구자 Analysis
활용도 Analysis
논문 Analysis
연구자 Analysis
활용도
공유도
영향력
논문상세정보
저자
백남진 ( Nam Jin Paik )
주제어
achievement standards
socialstudiesstandards
subject-specific competency
subject-specificcompetencybasedcurriculum
교과 특수 역량(subject-specific competency)
교과특수역량중심교육과정(subject-specificcompetencybasedcurriculum)
사회과교육과정(socialstudiesstandards)
성취기준(achievementstandards)
참고문헌( 51)
유사주제 논문( 175)
achievement standards 149건
subject-specific competency 11건
socialstudiesstandards 5건
성취기준(achievementstandards) 4건
subject-specificcompetencybasedcurriculum 3건
교과 특수 역량(subject-specific competency) 2건
교과특수역량중심교육과정(subject-specificcompetencybasedcurriculum) 1건
인용/피인용
교과 특수 역량에 기반한 성취기준 개발의 방향 탐색
' 교과 특수 역량에 기반한 성취기준 개발의 방향 탐색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achievement standards
socialstudiesstandards
subject-specific competency
subject-specificcompetencybasedcurriculum
교과 특수 역량(subject-specific competency)
교과특수역량중심교육과정(subject-specificcompetencybasedcurriculum)
사회과교육과정(socialstudiesstandards)
성취기준(achievementstandards)
동일주제 총논문수
논문피인용 총횟수
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83
0
0.0%
자세히
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
주제
주제별 논문수
주제별 피인용횟수
주제별 논문영향력
주제어
achievement standards
150
0
0.0%
socialstudiesstandards
6
0
0.0%
subject-specific competency
12
0
0.0%
subject-specificcompetencybas ...
4
0
0.0%
교과 특수 역량(subject-specif ...
3
0
0.0%
교과특수역량중심교육과정(subj ...
2
0
0.0%
사회과교육과정(socialstudiess ...
1
0
0.0%
성취기준(achievementstandards ...
5
0
0.0%
계
183
0
0.0%
* 다른 주제어 보유 논문에서 피인용된 횟수
0
닫기
' 교과 특수 역량에 기반한 성취기준 개발의 방향 탐색'
의 참고문헌
호주와 미국의 역사 교육과정에 나타난 핵심역량 분석
이미미
비교교육연구 24 (1) : 155 ~ 180
[2014]
핵심역량 교육과정의 의미와 성격
이근호
교육광장 (Summer) : 6 ~ 11
[2013]
초・중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국제비교
김진숙
[2013]
초등 사회과 역사영역 성취기준 분석에 따른 대안 제시
김동국
역사교육연구 (17) : 47 ~ 86
[2013]
초·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정(시안)연구 개발
허경철
[2005]
체육, 음악, 미술 교과 교육과정 구성 체제 및 내용 국제 비교
이경언
[2011]
제 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개발 체제에 관한 연구
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
[1997]
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: 역량의 특성과 차원
윤정일
교육학연구 45 (3) : 233 ~ 260
[2007]
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현장적용 사례 연구: 호주와 뉴질랜드, 캐나다,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
홍원표
[2010]
역량기반 교육의 매력과 한계
김광민
도덕교육연구 20 (2) : 171 ~ 197
[2009]
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
소경희
교육과정연구 27 (1) : 1 ~ 20
[2009]
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 분석: 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
박민정
교육과정연구 27 (4) : 71 ~ 94
[2009]
사회과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- 일반사회 영역의 특징과 문제점 -
모경환
사회과교육 51 (2) : 61 ~ 76
[2012]
사회과 교육과정
교육과학기술부
교육과학기술부
[2011]
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: 교육과정, 교수ㆍ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를 중심으로
이근호
[2013]
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․중등교육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
이광우
[2009]
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?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(Ⅰ)
윤현진
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
이근호
[2013]
미래 사회 대비 사회교육의 방향 및 과제 탐색
박진동
미래 사회 대비 교과 교육의 방향 및 과제 탐색을 위한 워크숍 : 147 ~ 165
[2014]
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-사회(일사)
이정우
[2013]
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-과학
곽영순
[2013]
능력 중심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
김판욱
양서원
[2010]
국어과 교육과정 ‘내용 성취 기준’의 진술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
서영진
국어교육학연구 (46) : 415 ~ 450
[2013]
교육과정에서의 성취기준 연구
윤현진
[2008]
교과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 모델의 가능성 탐색-영국, 독일, 캐나다 교육과정 고찰을 중심으로-
소경희
비교교육연구 23 (3) : 153 ~ 175
[2013]
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의 개선 방향 탐색: 한국과 미국 과학 교육과정 검토를 중심으로
백남진
교육과정연구 32 (2) : 101 ~ 131
[2014]
교과 교육과정 내용 구성 및 성취기준 진술 방안 탐색
이광우
제2차 국가교육과정 전문가 포럼 : 31 ~ 78
[2014]
Understanding by design
Wiggins, G.
ASCD
[1998]
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: executive summary
Organization for Economic Co-operation and Development
The curriculum bridge: from standards to actual classroom practice
Solomon, P. G.
Corwin Press
[2009]
The Ontario curriculum, social studies grades 1 to 6: History and Geography 7 and 8
Ontario Ministry of Education
The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and the life sciences
Bybee, R. W.
Science Scope : 13 ~ 20
[2013]
The Australian curriculum
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
Teaching for understanding: linking research with practice
Wiske, M. S.
Jossey-Bass
[1998]
Standards for science education
Raizen, S. A.
Teachers College Record 100 (1) : 66 ~ 121
[1998]
Secondary social studies normal(technical) syllabus
Curriculum Planning and Development Division
Primary social studies syllabus 2012
Curriculum Planning and Development Division
Outcome-based education : reframing the debate
Lewis, P.
ERIC: ED 381 496
[1994]
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, by states
NGSS Lead States
The National Academies Press
[2013]
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standards: a framework for research in mathematics, science, and technology education
Weiss, I. R.
National Academy Press
[2001]
Designing standards-based districts, schools and classrooms
Marzano, R. J.
ASCD
[1996]
Curriculum development
Wiles, J.
Pearson
[2014]
Competency, careers, and college
Spady, W. G.
Jossey-Bass : 35 ~ 46
[1978]
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
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
Choosing outcomes with significance
Spady, W. G.
Educational Leadership : 18 ~ 22
[1994]
Can we achieve outcome-based education?
King, J. A.
Educational Leadership 49 (2) : 73 ~ 75
[1991]
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 분석
이현숙
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 (4) : 305 ~ 325
[2013]
Beyond traditional outcome-based education
Spady, W. G.
Educational Leadership : 67 ~ 72
[1991]
Achieving excellence a renewed vision for education in Ontario
Ontario Ministry of Education
About the Standards
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
2009 개정 물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의 특징
조광희
교과교육학연구 17 (4) : 1405 ~ 1420
[2013]
' 교과 특수 역량에 기반한 성취기준 개발의 방향 탐색'
의 유사주제(
) 논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