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제강점기 ‘송도’ 연안의 개발과 어촌주민들의 삶

' 일제강점기 ‘송도’ 연안의 개발과 어촌주민들의 삶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atchingshellfish
  • developmentofcolony
  • fishermensunioninsongdo
  • razorshell
  • reclamation
  • regulationsforprotectionandcontroloffishingindustryinjoseon
  • songdo
  • tidal flat
  • 捕貝漁業
  • 松島
  • 松島漁業組合
  • 간척
  • 갯벌
  • 맛조개
  • 식민지개발
  • 조선어업보호취체규칙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06 0

0.0%

' 일제강점기 ‘송도’ 연안의 개발과 어촌주민들의 삶' 의 참고문헌

  • 凌虛臺에 대하여
    박광성 기전문화연구 4 [1974]
  • 환경사란 무엇인가 -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의 역사-
    김기봉 서양사론 (100) : 5 ~ 37 [2009]
  • 해양통계연보
  • 한말 일제초 근대적 토지소유권의 확정과 국유·민유의 분기 -경기도 안산 석장둔(石場屯)의 사례-
    이영호 역사와 현실 (77) : 281 ~ 319 [2010]
  • 한국의 갯벌
    홍재상 대원사 [1998]
  • 한국의 갯벌
    고철환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[2009]
  • 한국의 갯벌
  • 한국에서 생태환경사를 세계사적 지평에서 탐구하기
    이종찬 서양사론 (100) : 127 ~ 153 [2009]
  • 한국어업사
    박구병 수협중앙회 [1967]
  • 한국 어촌사회와 공유자원-인천과 서해, 남해, 동해의 도서를 중심으로
    옥동석 [2011]
  • 패총의 고고학
    스즈키 기미오 일조각 [2007]
  • 총설: 환경사와 한국 동양사학 연구
    이개석 동양사학연구 (99) : 1 ~ 30 [2007]
  • 조선후기 어업에 대한 연구
    이영학 역사와 현실 35 [2000]
  • 조선후기 간척과 수리
    양선아 민속원 [2010]
  • 일제하 도시 빈민층의 형성: 京城府의 이른바 土幕民을 중심으로
    김경일 사회와 역사 3 [1986]
  • 일제의 식민지 토지정책과 미간지 문제
    이영호 역사와 현실 37 [2000]
  • 일제시대 한 어촌의 문화변용 상·하
    최길성 아세아문화사 [1992]
  • 일제시대 어업조합의 성립과 변천
    여박동 일본학연보 5 [1993]
  • 일본의 한국어장 침탈과 어민의 대응
    박광순 경제사학 18 [1994]
  • 인천의 지명유래
  • 인천의 갯벌과 간척
  • 인천남부 종합학술조사
  • 인천 능허대와 중국사행로
    윤용구 인하사학 10 [2003]
  • 영종도 운남동 패총 출토 토기 연구
    박성희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[2011]
  • 연안습지 기초조사
  • 어촌사회변동과 해양생태
    김준 민속원 [2004]
  • 어업경제사를 통해 본 한국어업제도 변천의 100년
    한규설 선학사 [2001]
  • 어민, 환경운동가, 그리고 정부의 바다인식새만금사업을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
    함한희 ECO 11 (2) : 247 ~ 284 [2007]
  • 식민도시 인천의 거주지 분리 담론과 실제
    김종근 인천학연구 1 (14) : 7 ~ 44 [2011]
  • 섬의 생태적 정체성과 탈경계-생물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의 접점에서의 이해-
    홍선기 『도서문화』 (41) : 329 ~ 349 [2013]
  • 서해와 갯벌
    나승만 경인문화사 [2009]
  • 생태계의 위기와 여성어민들: 새만금지역의 사례
    함한희 ECO: 환경사회학연구 7 [2004]
  • 남동구 20년사
    추교찬 인천광역시 남동구 [2010]
  • 경제활동 변화와 어촌마을 여성의 지위에 관한 연구: 원산도 사례를 중심으로
    김준 지역사회학(Korean Regional Sociology) 10 (2) : 87 ~ 107 [2009]
  • 경기만의 갯벌
    최춘일 경기문화재단 [2000]
  • 갯벌국립공원 추진여건 분석과 향후 대응방안
    조경두 [2012]
  • 개항 이후 일제의 어업 침투와 조선 어민의 대응
    이영학 역사와 현실 18 [1995]
  • 강화도 선두포축언시말비의 내용과 가치
    이영호 박물관지 3 [2000]
  • 韓國水産誌 1~4
  • 解說: 植民地期朝鮮の專賣制度と塩業
    田中正敬 東洋文化硏究 13 [2011]
  • 漁業組合の眞意義に就て
    龍野文一 朝鮮之水産 (124) [1935]
  • 水産增殖の知識
    畑久三 錦城出版社 [1943]
  • 朝鮮漁業組合要覽
    朝鮮漁業組合中央會 日之出印刷所 [1942]
  • 朝鮮水産養殖業の將來
    朝鮮總督府殖産局 京城印刷所 [1923]
  • 朝鮮水産開發史
    吉田敬市 朝水會 [1954]
  • 日帝下 仁川의 ‘행락지’로서 위상의 형성과 변화 - 월미도와 송도 유원지를 중심으로 -
    염복규 인천학연구 1 (14) : 45 ~ 78 [2011]
  • 仁川아, 너는 엇더한 도시?
    이희환 도서출판 역락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