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 고문서에 나타난 일본의 독도 인식

송휘영 2015년
' 일본 고문서에 나타난 일본의 독도 인식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boundary
  • dokdorecognition
  • edoera
  • japaneseolddocument
  • meiji era
  • official record
  • 관찬기록
  • 독도인식
  • 메이지 시대
  • 에도시대
  • 일본의 고문서
  • 판도(영역)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262 0

0.0%

' 일본 고문서에 나타난 일본의 독도 인식' 의 참고문헌

  • 「죽도외일도」의 해석과메이지 정부의 울릉도・독도 인식
    송휘영 일본문화연구 (52) : 271 ~ 296 [2014]
  • 「竹島/独島=固有の領土論」の陥穽
    池内敏 ラチオ 2 [2006]
  • 「竹島外一島」の解釈をめぐる問題について
    竹内猛 郷土石見 87 [2011]
  • 「1898(明治31)년 韓國船 遭難事件에 관한 일고찰(山崎佳子)」 비판
    송휘영 독도연구 12 [2012]
  • 조선 초기 울릉도,독도에 대한 ‘空島政策’ 재검토
    김호동 민족문화논총 (32) : 257 ~ 290 [2005]
  • 일제강점기 울릉도 거주 일본인들의 울릉도・독도 인식-『울릉도우회보』의 분석을 중심으로-
    송휘영 일본문화연구 (46) : 249 ~ 275 [2013]
  • 일본의 독도에 대한 “17세기 영유권 확립설”의 허구성 -일본 외무성의 죽도 홍보 팸플릿의 포인트 3, 4 비판-
    송휘영 민족문화논총 (44) : 35 ~ 70 [2010]
  • 일본 에도시대의 다케시마-마츠시마 인식
    이케우치 사토시 독도연구 6 [2009]
  • 독도=죽도문제 ‘고유영토론’의 역사적 검토
    竹内猛 도서출판선인 [2013]
  • 독도 영유권 공고화를 위한 조선시대 수토제도의 향후 연구방향 모색
    김호동 독도연구 5 [2008]
  • 근대 일본의 수로지에 나타난 울릉도․독도 인식
    송휘영 대구사학 106 : 241 ~ 270 [2012]
  • 隠州視聴合記
    [1667]
  • 隠岐・村上家文書と安龍福事件
    池内敏 鳥取地域史研究 9 [2007]
  • 近世日本の西北境界
    池内敏 史林 90 (1) [2007]
  • 第3期「竹島問題に関する調査研究」最終報告書
  • 第2期「竹島問題に関する調査研究」最終報告書
  • 竹島=独島論争(資料集)
  • 竹島/独島と石島の比定問題・ノート
    池内敏 HERSETEC 4 (2) [2011]
  • 竹島領有に関する歴史的考察
    田川孝三 東洋文庫書報 20 [1988]
  • 竹島渡海禁止并渡海沿革
    鳥取藩史 6 [1971]
  • 竹島問題關係資料第2集 島根縣所藏行政文書
  • 竹島問題の歴史的考察
    山邊健太郞 コリア評論 7 (2) [1965]
  • 竹島問題とは何か
    池内敏 名古屋大学出版会 [2012]
  • 竹島問題
  • 竹島は日韓どちらのものか
  • 竹島の歴史地理学的研究
    川上健三 古今書院 [1966]
  • 竹島(鬱陵島)をめぐる日朝関係史
    内藤正中 多賀出版 [2000]
  • 竹島
  • 朝鮮國部百十三
    [1913]
  • 朝鮮國部百五
    [1913]
  • 明治政府の竹島=独島認識
    朴炳渉 北東アジア文化研究 (8) [2008]
  • 日本海域歴史大系, 第四巻近世篇Ⅰ
    池内敏 清文堂 [2005]
  • 日本外交文書, 14-16巻
    [1881]
  • 安龍福と鳥取藩
    池内敏 鳥取地域史研究 10 [2008]
  • 天保竹島渡海禁止令
    [1837]
  • 大日本外交文書
    [1870]
  • 大君外交と「武威」
    池内敏 名古屋大学出版会 [2006]
  • 名古屋大学文学部研究論集
    池内敏 [2009]
  • 勧告の保護・併合と日韓の領土認識
    塚本孝 東アジア近代史 14 [2011]
  • 公文録
    内務省之部 [1877]
  • 一九O五年日本の竹島領土編入
    堀和生 朝鮮史研究会論文集 24 [1987]
  • 『죽도문제 100문 100답』의 「죽도도해금지령과 「태정관지령」 비판: 일본의 ‘고유영토론’은 성립하는가?
    송휘영 독도연구 16 [2014]
  • http://www.pref.shimane.lg.jp/soumu/web-takeshima/
  • 17-19世紀鬱陵島海域の生業と交流
    池内敏 歴史学研究 756 [200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