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구논문 : 비단풀 에탄올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 및 항산화 효과

논문상세정보
' 연구논문 : 비단풀 에탄올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 및 항산화 효과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nti-oxidative
  • ceramiumkondoi
  • melanin
  • melanogenesis
  • tyrosinase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474 0

0.0%

' 연구논문 : 비단풀 에탄올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 및 항산화 효과' 의 참고문헌

  • 활성산소, 신체활동, 노화 그리고 항산화제
    장재봉 한국정체경락학회지 2 (1) : 19 ~ 27 [2010]
  • 화장품 소재로서 맹종죽과 발효 맹종죽의 피부미백 활성 연구
    장혜인 한국미용학회지 21 (3) : 406 ~ 413 [2015]
  • 하수오와 백하수오의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B16/F10 Melanoma 세포주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
    서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0 (8) : 1086 ~ 1091 [2011]
  • 중약대사전
    중약대사전 편찬위원회 정담사 : 1500 ~ 1501 [2006]
  • 주박의 추출과 발효를 통한 화장품 소재 개발
    김수미 한국미용학회지 19 (3) : 501 ~ 508 [2013]
  • 주박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와 Tyrosinase, Xanthine Oxidase, ACE 저해 효과
    권상철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1 (9) : 1191 ~ 1196 [2012]
  • 정향 추출물의 화장품 생리활성 및 세포독성 연구
    박미나 한국미용학회지 21 (3) : 446 ~ 454 [2015]
  • 정금나무 열매의 항산화 효과
    채정우 생명과학회지 20 (8) : 1235 ~ 1240 [2010]
  • 인산비당부와 땅빈대의 뇌암세포 독성작용
    차배천 생약학회지 27 (4) : 350 ~ 353 [1996]
  • 어수리 에탄올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효과
    박설아 한국미용학회지 21 (3) : 439 ~ 445 [2015]
  • 약이 되는 우리 풀, 꽃, 나무
    최진규 한문사 : 193 ~ 201 [2004]
  • 애기땅빈대의 화학적 성분
    김윤철 생약학회지 38 (3) : 291 ~ 295 [2007]
  • 애기땅빈대의 항산화 활성 성분
    홍현경 생약학회지 39 (3) : 260 ~ 264 [2008]
  • 애기땅빈대의 열수 추출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
    강란이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3 (1) : 105 ~ 114 [2014]
  • 애기땅빈대 추출물의 지방산 조성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
    최향미 생명과학회지 24 (1) : 74 ~ 80 [2014]
  • 애기땅빈대 열수추출물이 LPS로 유도된 RAW 264.7 cell lines에서의 IL-1β 및 IL-6 생성에 미치는 영향
    최강일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[2009]
  • 세신추출물이 α-MSH 자극에 의한 B16F10 세포의 멜라닌생성에 미치는 영향
    장지연 생명과학회지 20 (11) : 1617 ~ 1624 [2010]
  • 비타민 나무(Hippophae rhamnoides L.)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
    고민석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2 (6) : 812 ~ 817 [2012]
  • 비단풀 물 추출물의 항산화력 및 항암활성
    이승철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5 (10) : 1304 ~ 1308 [2006]
  • 대한식물도감
    이창복 향문사 : 511 ~ [2006]
  • 당귀 추출물 및 데커신의 피부노화억제효능에 대한 연구
    유미애 아주대학교 대학원 [2011]
  • studies on the terpenoid constituents of Euphorbia supina Pafin
    Chung B. S Korean J Pharmacogn 16 : 155 ~ 159 [1985]
  • coloured Flora of korea(I)
    Lee T. B. 황문사 : 511 ~ [2003]
  • chemical constituents of spotted leaf euphorbia(Euphorbia supina)
    Fang Z Zhong cayao 24 : 230 ~ 233 [1993]
  • Triterpens constituents from Euphorbia supina
    Tanaka R Phytochemistry 27 : 3579 ~ 3584 [1988]
  • Terpenoids and steroids from several Euphorbiaceae and Pinaceae plants
    Tanaka R Yakugaku Zasshi 119 : 319 ~ 339 [1999]
  • Tannons and related compounds, CV. Monomeric and dimeric hydroly zable tannins having a dehydrohexahydroxyldiphenoyl group, supinanin, euphorbia supina
    Lee S. H Chem Pharm Bull 39 : 630 ~ 638 [1991]
  •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f Euphorbia ceous plants. VIII. Eumaculin A and eusupinin A and accompanying polyphenols from Euphorbia maculata L and E, supina Rafin
    Agata I Chem Pharm Bull 39 : 881 ~ 883 [1991]
  •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α, 25–dehydroxyvitamin D3 andretinoic acid
    Hosei JE Cancer Res 45 : 1474 ~ 1478 [1985]
  •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the cellular growth and survival: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 assay
    Mosmann T. J Immun. Methods. 65 : 55 ~ [1983]
  • Production and release of proopiomelanocortin(POMC)derived peptides by human melanocytes and keratinocytes in culture : regulation by ultraviolet B
    Chakraborty AK Biochim Biophys Acta 1313 (2) : 130 ~ 138 [1996]
  • Microphthalmia gene product as a siganl transducer in cAMP-induced differentiation of melanicytes
    Bertolotto C J Cell Biol 142 : 827 ~ 835 [1998]
  • Mechanisms of melanogenesis inhibition by tumor necrosis factor-alpha in B16/F10 mouse melanoma cells
    Martnez-Esparza M Eur J Biochem 255 (1) : 139 ~ 146 [1998]
  • LPS로 활성화된 RAW 264.7 대식세포에서 애기땅빈대 (Euphorbia supina Rafin)의 염증매개물질 억제효과
    박성철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0 (4) : 486 ~ 492 [2011]
  •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
    Blois MS. Nature 26 : 1199 ~ 1204 [1958]
  •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a stable free radical
    Blois MS. Nature 26 : 1199 ~ 1200 [1958]
  • Alpha-MSH and Cyclic AMP elevating agents control melanosome pH through a protein kinase A-independent Mechanism
    Cheli Y J Biol. Chem. 284 : 18699 ~ 18706 [2009]
  • 3β-Hydroxlyhexanordammaran-20-one from Euphorbia supina
    Tanaka R Phytochemistry 26 : 3365 ~ 3366 [198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