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반논문 : 식민지 청년의 이동과 성장의 임계 ―이태준의 『사상의 월야』와 우줘류의 『아시아의 고아』 비교연구

논문상세정보
' 일반논문 : 식민지 청년의 이동과 성장의 임계 ―이태준의 『사상의 월야』와 우줘류의 『아시아의 고아』 비교연구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comparative literature
  • empire-colonysystem
  • growth
  • mobility
  • young man
  • 비교문학
  • 성장
  • 이동
  • 제국-식민지 체제
  • 청년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,553 0

0.0%

' 일반논문 : 식민지 청년의 이동과 성장의 임계 ―이태준의 『사상의 월야』와 우줘류의 『아시아의 고아』 비교연구' 의 참고문헌

  •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:공생사회를 위한 실천과제
    백영서 창비 [2013]
  • 한국의 동아시아론과 동아시아 정체성-‘동아시아의 새로운 상상’과 ‘국제사회로서의 동아시아’
    장인성 세계정치 26 (2) [2005]
  • 한국과 타이완 문학 속 ‘광복(光復)’의 기억
    김양수 중어중문학 (48) : 67 ~ 92 [2011]
  • 한국 근대소설과 교양의 이념
    허병식 동국대학교 대학원 [2005]
  • 탕아를 위한 비평
    황종연 문학동네 [2012]
  • 전쟁이라는 문턱-총력전하 한국-타이완의 문화 구조
  • 전시체제기 기술적 이성 비판
    차승기 상허학보 23 : 11 ~ 31 [2008]
  • 입신출세주의의 문학적 의미 이태준『사상의 월야』와 그 밖의 작품들
    조성면 민족문학사연구 (40) : 10 ~ 35 [2009]
  • 일제하 대만·조선 공의(公醫)제도 비교연구: 제도 운영과 그 효과
    문명기 의사학 23 (2) : 157 ~ 202 [2014]
  • 일제의 동아시아 구관조사와 식민지 법 제정 구상 -대만과 조선의 구관입법을 중심으로-
    이승일 한국사연구 (151) : 271 ~ 307 [2010]
  • 이태준문학전집 7
    이태준 사상의 월야・법은 그렇지만 / 깊은샘 [1996]
  • 윤리학
    알랭 바디우 동문선 [2001]
  • 우줘류(吳濁流)의 장편 소설『아시아의 고아』(アジアの孤児)에서 드러나는 식민지인의 정체성 연구
    신민영 인문논총 71 (2) : 211 ~ 246 [2014]
  •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을 넘어서-동서(東西) 비교문학의 이론적 모색-
    박성창 한국학연구 0 (28) : 5 ~ 41 [2008]
  • 아시아의 고아
    우줘류 아시아 [2012]
  • 식민지제국 일본의 문화통합-조선・대만・만주・중국 점령지에서 식민지 교육
    고마고메 다케시 역사비평사 [2008]
  • 식민지에서의 제국 일본의 역사편찬사업 -조선・대만을 중심으로-
    정상우 한국사연구 (160) : 143 ~ 181 [2013]
  • 식민지 타이완문학에서 ‘고향’의 계보
    朱惠足 한국문학연구 (31) : 39 ~ 69 [2006]
  • 식민지 조선·대만에서의 ‘家制度’의 정착 과정 - ‘戶主·家族’과 ‘戶主相續’ 개념을 중심으로 -
    이정선 한국문화 (55) : 253 ~ 283 [2011]
  • 식민지 문학 연구의 역사주의적 전환과 전망
    하재연 상허학보 35 : 11 ~ 51 [2012]
  • 식민지 교양소설과 이태준의 공간지향 : 이태준의 『사상의 월야』를 중심으로
    권은 상허학보 44 : 273 ~ 303 [2015]
  • 식민지 ‘문명화’의 격차와 그 함의 -의료부문의 비교를 통해 보는 대만ㆍ조선의 ‘식민지근대’-
    문명기 한국학연구 (46) : 33 ~ 69 [2013]
  • 세상의 이치-유럽 문화 속의 교양소설
    프랑코 모레티 문학동네 [2005]
  • 서사학 강의: 이야기에 대한 모든 것
    H. 포터 애벗 문학과지성사 [2010]
  • 사실, 과학 그리고 문학의 신생-신체제기 한국 대중소설에 나타난 ‘기술적’ 주체와 문학의 재편
    정종현 상허학보 23 : 32 ~ 52 [2008]
  • 문학의 위상 변화와 문학 연구의 (탈)영토화* 최근 풍속-문화론적 연구의 한 경향에 대한 이의
    오태영 상허학보 37 : 87 ~ 120 [2013]
  •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조선 로컬리티 : 식민지 후반기 여행 텍스트를 중심으로
    오태영 동국대학교 대학원 [2012]
  • 동아시아 문학의 비교론적 고찰-근대 문학의 형성과 발전
    채지원 문예시학 28 [2013]
  • 동아시아 문학은 어떻게 가능한가?- 해석을 통한 보편적 문학가치의 지향
    박상진 세계문학비교연구 (15) : 5 ~ 41 [2006]
  • 대만과 조선에서 ‘식민지 화폐영역’의 형성
    배성준 동양사학연구 (121) : 315 ~ 347 [2012]
  • 대만・조선의 ‘식민지근대’의 격차 – 경찰 부문의 비교를 통하여
    문명기 중국근현대사연구 (59) : 69 ~ 100 [2013]
  • 근대 일본문단과 식민지의 문학자 ― 김사량과 룽잉쭝을 중심으로 ―
    김계자 아시아문화연구 22 : 1 ~ 24 [2011]
  • 근대 일본 식민지 통치모델의 轉移와 그 의미 ― ‘臺灣모델’의 關東州ㆍ朝鮮에의 적용 시도와 변용 ―
    문명기 중국근현대사연구 (53) : 199 ~ 220 [2012]
  • 고아들의 감정교육, 해방 전후 이태준 소설의 인정투쟁
    김명훈 상허학보 41 : 59 ~ 91 [2014]
  • 思想의 月夜
    이태준 乙酉文化社 [1946]
  • 吳濁流와 타이완 의식
    이선옥 중국문학 50 : 153 ~ 172 [2007]
  • ‘대동아 문학자 대회’라는 문법, 그 변형과 잔여들 -타자는 타자와 만날 수 있는가?-
    신지영 한국문학연구 (40) : 33 ~ 87 [2011]
  • <일본어교과서 >로 본 植民地 교육 -朝鮮 『普通學校國語讀本』과 臺灣『公學校用國民讀本』을 중심으로-
    장미경 日本語文學 1 (48) : 201 ~ 220 [2011]
  • <사상의 월야 > 연구
    김흥식 한국현대문학연구 (35) : 195 ~ 221 [201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