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920∼30년대 근대매체의 <騎牛老翁> 소환과 그 변모양상

이동월 2015년
논문상세정보
' 1920∼30년대 근대매체의 <騎牛老翁> 소환과 그 변모양상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1920∼30년대
  • <ki-­woo-­no-­ong(騎牛老翁)>
  • changingaspects
  • during1920∼30s
  • leeyeo-song
  • yadam(野談)
  • 기우노옹(騎牛老翁)
  • 변모양상
  • 야담
  • 이여송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73 0

0.0%

' 1920∼30년대 근대매체의 <騎牛老翁> 소환과 그 변모양상' 의 참고문헌

  • 한국구비문학대계
  • 주해 청구야담 Ⅲ
    최 웅 국학자료원 [1996]
  • 조선조문헌설화집요Ⅰ․Ⅱ
    서대석 집문당 [1991]
  • 조선일보
    [1934]
  • 조선왕조실록
  • 임진왜란 시기 ‘재조지은’의 형성과 그 의미
    한명기 동양학 29 : 119 ~ 136 [1999]
  • 이여송 설화의 구조와 전승의식 고찰
    이은숙 한국언어문학 40 : 181 ~ 212 [2000]
  • 이여송 설화 연구
    임철호 국어국문학 90 : 247 ~ 278 [1983]
  • 윤백남의 야담 활동 연구
    이동월 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 (27) : 387 ~ 414 [2007]
  • 월간야담
  • 원본 동야휘집 上
    정명기 보고사 [1992]
  • 박사
  • 설화와 민중의 역사인식
    임철호 집문당 [1989]
  • 별건곤
  • 백두산의 ‘민족 영산’으로의 표상화
    박찬승 동아시아문화연구 (55) : 9 ~ 36 [2013]
  • 매일신보
    [1910]
  • 동아일보
    [1937]
  • 근대전환기 야담의 전대 야담 수용 태도
    김준형 한국한문학연구 (41) : 595 ~ 631 [2008]
  • 근대 초기 <임진록 >의 전변 양상
    장경남 고소설연구 (36) : 41 ~ 75 [2013]
  • 국역 동패락송
    김동욱 아세아문화사 [1996]
  • 구활자본 야담의 변이양상 연구
    이윤석 보고사 [2001]
  • 계서야담
    이희준 국학자료원 [2003]
  • ‘계월향 이야기’와 ‘죽음’의 변주
    이동월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(16) : 219 ~ 249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