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경판본 흥부전>의 두 가지 번역지평 - 알렌, 쿠랑, 다카하시, 게일의 <흥부전> 번역사례를 중심으로-

' <경판본 흥부전>의 두 가지 번역지평 - 알렌, 쿠랑, 다카하시, 게일의 <흥부전> 번역사례를 중심으로-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allen
  • courant
  • dakasidoru(高橋亭)
  • heung-boojeonpublishedinseoul
  • heung-boojeontranslation
  • hosoihajime(細井肇)
  • translation approach
  • 게일
  • 경판본흥부전
  • 다카하시 도루
  • 모리스 쿠랑
  • 번역지평
  • 알렌
  • 호소이 하지메
  • 흥부전번역본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191 0

0.0%

' <경판본 흥부전>의 두 가지 번역지평 - 알렌, 쿠랑, 다카하시, 게일의 <흥부전> 번역사례를 중심으로-' 의 참고문헌

  • ?흥부전?의 傳承 樣相 - 出版文化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-
    최진형(崔鎭亨) 어문연구(語文硏究) 34 (4) : 205 ~ 228 [2006]
  • 흥부전 전집 1-3
    김진영 박이정 [1997]
  • 흥부전 연구
    유광수 계명문화사 : 17 ~ 97 [1993]
  • 흥부전 연구
    정충권 월인 : 5 ~ 130 [2003]
  • 흥부전 연구
    인권환 집문당 [1991]
  • 현대 한국어로 보는 한불자전
    이은령 소명출판 [2014]
  • 해외 한국본 고문헌 자료의 탐색과 검토
    King, R. 삼경문화사 : 237 ~ 263 [2012]
  • 한말 일제하 재조일본인의 조선고서 간행사업
    최혜주 대동문화연구 (66) : 417 ~ 448 [2009]
  • 한국어의 근대와 이중어사전 Ⅰ-Ⅺ
    황호덕 박문사 [2012]
  • 한국서지
    모리스 쿠랑 일조각 [1994]
  • 한국 고소설 영역본으로의 초대
    오윤선 집문당 [2008]
  •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 현황과 전망
    이문성 한국학연구 (38) : 259 ~ 285 [2011]
  • 판소리 향유층의 변동과 판소리 사설의 변화 - ‘흥부가’의 사설을 중심으로
    정출헌 판소리연구 11 : 103 ~ 104 [2000]
  • 판소리 사설의 특성과 미학
    박영주 보고사 : 129 ~ 178 [2000]
  • 제1차 조선교육령기 「普通學校朝鮮語及漢文讀本」 수록 제재 연구 - 「흥부전」을 중심으로
    김혜련 돈암어문학 23 : 61 ~ 95 [2010]
  • 일제하 흥부전의 전래동화화 작업에 대한 고찰
    권혁래 동화와 번역 (13) : 15 ~ 47 [2007]
  • 오카쿠라 요시사부로 한국문학론(1893)의 근대 학술사적함의-19세기 말 한국 시가집의 발견과 시조의 번역
    이상현 일본문화연구 50 : 237 ~ 272 [2014]
  • 알렌 <백학선전 >영역본 연구 -모리스 쿠랑의 고소설 비평을 통해 본 알렌 고소설영역본의 의미-
    이상현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20 (1) : 289 ~ 335 [2012]
  • 번역으로 발견된‘조선(인)’-자유토구사의 조선 고서 번역을 중심으로-
    박상현 日本文化學報 (46) : 391 ~ 412 [2010]
  • 묻혀진 <심청전 > 정전화의 계보
    이상현 고소설연구 32 : 405 ~ 456 [2011]
  • 다카하시(高橋)본 <춘향전 >의 특징과 의의
    권혁래 고소설연구 (24) : 363 ~ 408 [2007]
  •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속담집
    高橋亨 어문학사 [2006]
  • 근대초기 한국설화 영역자들의 번역태도 연구-Allen, Griffis, Hulbert, Carpenter를 중심으로-
    오윤선 동화와 번역 (23) : 205 ~ 231 [2012]
  • 근대 초기 설화 고전소설집"조선물어집"의 성격과 문학사적 의의
    권혁래 한국언어문학 (64) : 217 ~ 246 [2008]
  • 근대 초기 고소설의 전변양상과 담론화
    권순긍 고소설연구 36 : 5 ~ 40 [2013]
  • 고전소설의 동화적 변모 - <흥부전 >을 중심으로-
    권순긍 고소설연구 (27) : 265 ~ 289 [2009]
  • 경판방각소설 판본 연구
    이창헌 태학사 : 413 ~ 415 [2000]
  • 게일의 한국고소설 번역과 그 통국가적 맥락― 『게일 유고』(Gale, James Scarth Papers) 소재 고소설관련 자료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에 관하여 ―
    이상현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22 (1) : 11 ~ 54 [2014]
  • 게일의 고전학 담론과 고소설 번역의 지평
    이상현 소명출판 [2013]
  • 鮮滿叢書 1: 燕の脚
    鄭在敏 自由討究社 [1922]
  • 朝鮮文学関係日本語文献目録-1882.4-1945.8
    大村益夫 早稲田大学語学教育研究所大倉研究室 [1997]
  • 朝鮮の物語集附俚諺
    高橋亨 日韓書房 [1910]
  • 朝鮮の文學
    岡倉由三郞 哲學雜誌 8 (74) [1893]
  • 「흥부전」의 주제와 현대적 의미- 근대극복을 위한 문학연구 방법론 모색 시고
    김창현 비교문학 (41) : 279 ~ 308 [2007]
  • 「게일 유고(Gale, James Scarth Papers)」(토론토대 토마스피셔 희귀본 장서실)
  • Occidental Literature on Korea
    Underwood, H. H.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20 [1931]
  • Korean Tales
    Allen, H. N. The Nickerbocker Press [1889]
  • Korea Fact and Fancy의 書評
    구자균 亞細亞硏究 6 (2) : 229 ~ 234 [1963]
  • <흥부전 >의 이본과 구성 연구
    김창진 경희대학교 [1991]
  • <춘향전 > 소설어의 재편과정과 번역 -게일(James Scarth Gale) <춘향전 > 영역본(1917) 출현과 그 의미-
    이상현 고소설연구 (30) : 375 ~ 418 [2010]
  • 20세기 초 고소설 동화화와 그 의미
    조혜란 고소설연구 (37) : 91 ~ 117 [2014]
  • 19세기 서구인들이 인식한 한국의 시와 노래
    김승우 소명출판 : 54 ~ 70 [2014]
  • 19세기 말 한국시가문학의 구성과 ‘문학텍스트’로서의 고시가* - 모리스 쿠랑 한국시가론의 근대학술사적 의미
    이상현 비교문학 (62) : 323 ~ 370 [2014]
  • 19세기 말 고소설 유통의 전환과 ‘민족지’로서의 고소설 - 모리스 쿠랑 『한국서지』 한국고소설 관련 기술의 근대 학술사적 의미
    이상현 비교문학 (59) : 37 ~ 74 [2013]
  • 19세기 말 在外 외국인의 한국시가론과 그 의미
    이상현 동아시아문화연구 (56) : 309 ~ 345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