광복 70년 국어교육의 응전과 통일 시대의 과제

논문상세정보
' 광복 70년 국어교육의 응전과 통일 시대의 과제'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
논문영향력 선정 방법
논문영향력 요약
주제
  • externalandinternalchallengeofkoreaneducation
  • the tasks of korean education in the period of unification
  • 국가적 이데올로기와 국어교육
  • 국어교육의 외적 응전과 내적 응전
  • 통일 시대의 국어교육의 과제
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
5 0

0.0%

' 광복 70년 국어교육의 응전과 통일 시대의 과제' 의 참고문헌

  • 헌법개정에 따른 북한의 교육이념 변화: 국어와 공산주의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
    권성아 교육과정연구 21 (2) : 145 ~ 171 [2003]
  • 해방 후, 최초의 국정교과서 『바둑이와 철수』(박창해 저, 1948) 편찬의 국어학사적 맥락 연구-고(故) 박창해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-
    오새내 우리어문연구 (49) : 283 ~ 316 [2014]
  • 해방 후 시기의 남북한 초등국어 교과서 비교연구
    이동배 새국어교육 (83) : 337 ~ 356 [2009]
  • 해방 직후 국어에 대한 인식 및 교과 형성 과정 연구
    김혜정 국어교육학연구 (18) : 129 ~ 168 [2003]
  • 해방 이후 독서 대중화 운동
    윤금선 국어교육연구 (17) : 333 ~ 380 [2006]
  • 한글과 국어 교육
    이관규 국어교육 (127) : 281 ~ 306 [2008]
  • 한국의 언어문화와 국어교육
    최인자 국어교육 (117) : 93 ~ 130 [2005]
  • 한국의 근대화와 국어교육 -근대 계몽기와 일제 강점기를 중심으로-
    윤여탁 국어교육 (117) : 1 ~ 22 [2005]
  • 한국의 국어정책과 국어교육, 그리고 국어운동
    이관규 국어교육 (117) : 23 ~ 68 [2005]
  • 한국국어교육전사
    박붕배 대한교과서주식회사 [1997]
  • 한국교육사
    김명신 동문사 [2013]
  • 통일에 대비한 국어과 내용 선정 방안 연구-통일 전 남한의 국어 교육을 중심으로-
    한정선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4]
  • 통일대비 교육과정 개발방안 연구
    곽병선 한국교육개발원 [1998]
  • 통일 한국의 국어 교육과 교육 과정 통합의 방향
    이인제 국어교육 (117) : 173 ~ 228 [2005]
  • 통일 이후 동서독 주민들의 갈등과 사회통합 : 통일교육에의 시사점
    김해순 통일부 통일교육원 [2002]
  •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
    최경은 독일언어문학 (21) : 55 ~ 79 [2003]
  • 통일 시대 어문 교육의 방향
    김중신 국어국문학 (168) : 93 ~ 121 [2014]
  • 조선어의미구조론
    문영호 사회과학출판사 편집부 [2005]
  • 조선어 문형연구
    강은국 박이정 [1995]
  • 일본의 국어정책과 일본어교육
    임영철 국어교육연구 (28) : 295 ~ 318 [2011]
  • 사회적 문해력 교육 구안을 위한 역사적 고찰
    조희정 문학교육학 (13) : 89 ~ 128 [2004]
  • 북한의 언어와 문학
    박종갑 영남대학교출판부 [2007]
  • 북한 인민학교 교과서의 내용구성원리 탐색: 시민교육 관련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
    정호범 사회과교육연구 12 (1) : 199 ~ 228 [2005]
  • 반전(反轉)하는 ‘국어’-한일병합 전후의 조선어 교육을 중심으로-
    이숙자 일본연구 (25) : 49 ~ 69 [2005]
  • 박태원과 국어교육― 일제강점기에서 해방직후까지를 중심으로
    정현숙 구보학보 (10) : 105 ~ 134 [2014]
  • 문학교육의 사회학을 위하여
    정재찬 도서출판 역락 [2003]
  • 문학교과서와 정전(正典)의 문제
    박용찬 국어교육연구 38 : 49 ~ 70 [2005]
  • 독일통일기의 독어교육
    이원경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회 1 : 23 ~ 30 [2009]
  • 독일의 맞춤법 개정 과정과 교훈
    이진희 새국어생활 23 (1) : 147 ~ 161 [2013]
  • 독일 통일 10년, 그 후
    김창환 교육개발 124 : 99 ~ 110 [2000]
  • 남한과 북한의 교사양성 과정 비교 연구
    김병찬 통일정책연구 17 (1) : 143 ~ 179 [2008]
  • 남북한 국어 교과서 비교 연구-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-
    김지영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[2004]
  • 남북한 교육과정․교과서 비교 분석의 준거 탐색
    조주연 초등교육연구 10 (1) : 177 ~ 197 [1996]
  • 근현대 국어 교육 자료 변화 양상 연구-초등 국어 교육 자료를 중심으로
    오현아 국어교육연구 (27) : 3 ~ 37 [2011]
  • 근대계몽기 국어교육 목표의 현재적 가치-근현대 민족어문교육 기초연구 결과물을 바탕으로-
    고정희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회 : 221 ~ 242 [2013]
  • 국어연구자료 구축
    남기심 국립국어연구원 [2002]
  • 국어교육학개론
    노명완 三知院 [2012]
  • 국어교육의 이해 : 국어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
    최미숙 사회평론 [2012]
  • 국어교육과 국어교육학
    김수업 한국문화사 [2002]
  • 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-읽기․독서 영역을 중심으로
    서혁 교과교육학연구 10 (1) : 127 ~ 148 [2006]
  • 국어교육 50년, 한 지붕 세 가족의 삶과 갈등
    한철우 국어교육학연구 (21) : 499 ~ 528 [2004]
  • 국어교육 100년의 회고와 전망
    박갑수 이중언어학 13 (1) : 137 ~ 157 [1996]
  • 국어교육 100년사 2
    윤여탁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[2013]
  • 국어교육 100년사 1
    윤여탁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[2013]
  • 국어교과서와 국가 이데올로기
    강진호 글누림 [2007]
  • 국어교과서와 ‘(국)문학’ 이데올로기 - 4차 교육과정기 국어교과서의 ‘국문학사’ 인식 및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
    정종현 한국문학연구 (41) : 279 ~ 307 [2011]
  • 국어과 교육과정의 언어관
    김명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 (6) : 757 ~ 773 [2013]
  • 국어과 교과서와 근대적 주체의 형성 ─『국민소학독본』(1895)을 중심으로
    강진호 국제어문 (58) : 9 ~ 41 [2013]
  • 국어 교재의 문종 및 지은이 변천에 대한 통사적 검토 - 현대 교육과정기 전후 변화를 중심으로 -
    김혜정 국어교육 (116) : 35 ~ 66 [2005]
  • 국어 교육과 이념의 문제
    민현식 한국어문교육 10 : 177 ~ 235 [2011]
  • 국어 교과서의 역사적 변천 연구
    조희정 국어교육학연구 (42) : 41 ~ 71 [2011]
  • 국어 교과서와 지배 이데올로기 -1차~4차 교육과정기 중․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대상으로
    차혜영 상허학보 15 : 67 ~ 86 [2005]
  • 국어 교과서와 기억의 구성 -해방기에서 전후의 중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-
    김신정 현대문학의 연구 (40) : 425 ~ 466 [2010]
  • 국어 교과서와 국가 이데올로기
    김예니 글누림 [2007]
  • 교육과정과 교과서 게재소설 변천 연구
    조미숙 겨레어문학 (38) : 317 ~ 351 [2007]
  • 교과서 문학 정전화의 이데올로기와 탈정전화
    한수영 문학동네 13 (1) : 1 ~ 18 [2006]
  • 개념과 역사적 실제
    나인호 새국어교육 (98) : 35 ~ 57 [2014]
  • ‘한글 운동’ 분야에 대하여
    이응호 한글 216 : 95 ~ 122 [1992]
  • ‘언어문제’에서 본 한국 근대사 -교육 정책과 언어운동의 측면에서-
    미쓰이다카시 한국학연구 (22) : 441 ~ 477 [2010]
  • ‘국어’ 교과서의 형성과 일제 식민주의 -『국어독본』(1907)과 『조선어독본』(1911)을 중심으로-
    강진호 현대소설연구 (46) : 65 ~ 100 [2011]
  • Analysis of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
    이동배 국어교육학연구 (27) : 399 ~ 440 [2006]
  • 80년대 이후 북한의 국어 교과서 연구
    김양희 국어교육연구 13 : 272 ~ 403 [2004]
  • 21세기의 새로운 文識性과 국어교육의 課題
    朴泳穆 국어교육 (110) : 1 ~ 14 [2003]
  • (미래를 여는)국어교육사
    민현식 서울대학교출판부 [2007]